가상자산 비켜!...金의 반격

홈 > 해외선물 > 해외선물 게시판
해외선물 게시판

가상자산 비켜!...金의 반격

호빵이네 0 4470

가상자산 비켜!...金의 반격



‘디지털금’으로 불리던 비트코인의 공세에 휘청이던 금이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다. 가상자산의 가격이 급락하자 실물 금값이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가치 저장수단으로서 안전자산 성격을 지닌 금이 재차 주목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23일 한국거래소의 최근 한달 국제금시세 추이를 보면, 지난달 31일 온스당 1687.27달러이던 금값은 22일 종가 기준 1790.77달러로 6.13% 상승했다.


국내 금 시세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g당 6만4640원으로 지난달 31일 6만2530원 대비 3.37% 올랐다. 지난해 7월 28일 8만100원까지 치솟으며 최고치를 경신했던 국내 금값은 이후 줄곧 하락했으나 최근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 가격의 이같은 반등은 지속되던 비관론 속에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금 가격의 반등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가격 급락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그동안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이 금의 대체제로 시장에서 주목받아 왔기 때문이다. 실제 “비트코인은 21세기의 ‘금’이다”(시티은행 애널리스트 톰 피츠패트릭), “비트코인이 금의 자리를 갉아먹고 있다”(JP모건 애널리스트 니컬러스 파니거트조글루) 등의 평가도 나온 바 있다.


하지만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들이 정부 당국와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잇따른 거품 경고 속에 연일 급락세를 보이며 분위기가 반전되고 있다.


물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헤지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면서 금을 대체할 자산으로 부상했던 비트코인에 대해 정부가 화폐로서의 가치를 부인하자 재차 금이 대체제의 위상을 되찾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무엇보다 실물 형태를 지닌 자산이라는 점에서 금의 안정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하루에도 수백만원을 오르내리는 등 변동성이 크지만, 금 시세는 상대적으로 안정돼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포스트 코로나 이후 경제 정상화가 예상되고 통화 정책 긴축도 예상되기 때문에 금 투자 환경은 녹록지 않다”면서도 “인플레이션 헤지 장세 속에서 금 가격 반등이 예상되기 때문에 자산 배분 차원에서 투자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423000475 


0 Comments

공지사항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