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들, 심각한 재무 위기로 생존 전략 모색

한국의 대기업들이 비약적인 경기 불황과 중국산 저가 물량의 공세로 인해 심각한 재무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과 2차전지 산업의 주요 업체들은 신용등급이 줄줄이 강등되고 있으며, 이는 경기 하락의 누적된 부담이 가시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2023년 상반기, 신용평가에서 석유화학, 2차전지 및 건설 분야의 기업들이 주로 신용등급 하락을 경험했다.
한국신용평가는 롯데케미칼, LG화학, 한화토탈에너지스 등 주요 석유화학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1.2%에 달하며, 이러한 손실은 2023년 4분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업계의 영업현금 창출력이 저조해지고,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의 순차입금 배율은 9.8배로 증가하며 재무 부담이 더 가중되고 있다.
LG화학과 한화토탈에너지스와 같은 석유화학 기업들의 신용등급 전망은 '부정적'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재무 구조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등급 하락이 계속될 가능성을 예고한다.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 공급망 재편과 같은 요소들이 겹쳐 석유화학업계는 전례 없는 위기를 겪고 있다. 정부는 석유화학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업황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LG화학과 SKC는 몇 년 전부터 석유화학 부문의 비중을 줄이고 2차전지 등 신사업을 육성하려고 했으나, 2차전지 시장도 활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인해 2023년 하반기부터 재고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2차전지 기업이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발행된 약 34조4000억원의 회사채 중 83%가 기존 채무 상환에 사용되었으며, 이는 자금 조달 기조가 사업 투자보다는 채무 상환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업들은 비용 절감과 유동성 확보를 위해 사업구조 개편에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비핵심 자산을 1조4000억원에 매각하며 자산 경량화에 속도를 내고 있고, 롯데케미칼 또한 수처리 필터 공장을 매각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아울러 2차전지 업계에서도 투자 축소와 사업 정리가 이뤄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연간 설비투자를 전년 대비 30% 이상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SK온은 올해 CAPEX 규모를 작년의 반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개정에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들은 전기차 시장의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말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