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9.27 오늘의 뉴스] 증시 / 환율 / 금값동향

홈 > 투자정보 > 외환시황
외환시황

[22.09.27 오늘의 뉴스] 증시 / 환율 / 금값동향

FX개미 0 134

86a8c24b1d344352f88786dd132bbc77_1664242604_4341.png
 



 오늘의 증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9.60포인트(1.11%) 하락한 29,260.81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8.19포인트(1.03%) 떨어진 3,655.04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65.00포인트(0.60%) 밀린 10,802.92로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마감가 기준, 6월 저점을 하향 돌파하며 장을 마쳐, 올해 최저치를 경신했다. 다우지수는 1월 기록한 52주래 최고치에서 20.4%가량 하락하며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했다.

투자자들은 영국 파운드화와 국채 가격 급락 사태,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들의 발언 등을 주시했다.

파운드화 가치는 아시아 시장에서 미 달러화에 대해 1.0382달러까지 추락해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영국 10년물 국채금리도 45bp 이상 올라 4%를 돌파했다. 영국 10년물 국채금리가 4%를 돌파한 것은 2010년 이후 처음이다. 영국 정부의 감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악화하고, 대규모 국채 발행에 공급 물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금리가 급등하고 있다.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과 영국의 감세 정책에 따른 파운드화 폭락은 달러화를 더욱 끌어올려 시장의 불안을 강화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보여주는 ICE 달러지수는 114.677을 찍으며 2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달러 강세는 해외 수익 비중이 큰 다국적 기업들에 타격이 될 수 있다. 다만 파운드-달러화 환율은 뉴욕 시장에서 1.06달러대까지 올라서 아시아 시장에서의 낙폭을 일부 만회했다.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도 동반 급등했다. 글로벌 금리 급등세에 미국의 긴축 우려도 강화되면서 10년물 금리는 4%에 육박한 3.9% 수준까지 올랐다. 이는 2010년 이후 최고치다.

주가가 6월 저점 근방까지 내려오면서 주가가 과매도 상태에 들어섰다는 분석도 나왔으나 하락세를 억제하지는 못했다.

CMC마켓츠에 따르면 S&P500지수의 모멘텀을 보여주는 14일 평균 상대강도지수(RSI)가 25 아래로 떨어져 과매도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SI는 지수의 상승 및 하락 압력의 상대 강도를 측정하는 기술적 지표로 통상 30 이하를 과매도, 70 이상을 과매수 구간으로 본다.

일각에서는 200일 이동평균선인 3,585가 지지선이 돼 단기적으로 주가가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모건스탠리는 S&P500지수가 최대 3,000선까지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이클 윌슨 모건스탠리 전략가는 CNBC에 출연해 현재 기본 시나리오는 3,400까지 떨어지는 것이지만, 기업 실적 침체가 불가피해 보인다며 아직 조정이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S&P500지수 내 임의소비재 관련주를 제외하고 10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다. 부동산, 에너지, 유틸리티 관련주가 2% 이상 하락하며 낙폭을 주도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각국의 고강도 긴축이 경착륙 위험을 높이고 있다고 경고했다.

인터렉티브 인베스터의 리처드 헌터 시장 담당 대표는 마켓워치에 "계속된 달러화 고공행진과 글로벌 침체 가능성을 둘러싼 우려가 주식시장에 전반적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다"라며 "각국의 과도한 긴축에 따른 경착륙 위험이 커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수석 주식 전략가는 보고서에서 "이러한 달러 강세는 역사적으로 금융 위기나 경제 위기로 이어졌다"라며 "만약 어떤 것이 무너질지를 경계해야 하는 시기가 있다면, 바로 지금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1월에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1.1%에 달했다.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28.3%를 나타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34포인트(7.82%) 상승한 32.26을 나타냈다.


86a8c24b1d344352f88786dd132bbc77_1664242646_0915.png





 오늘의 달러 환율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현재(이하 미국 동부시각)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144.600엔을 기록, 전장 뉴욕 후장 가격인 143.297엔보다 1.303엔(0.91%) 상승했다.

유로화는 유로당 0.96104달러에 움직여, 전장 가격인 0.96912달러보다 0.00808달러(0.83%) 하락했다.

유로는 엔에 유로당 138.92엔을 기록, 전장 138.88엔보다 0.04엔(0.03%) 올랐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는 전장 112.997보다 0.96% 상승한 114.080을 기록했다.

미국 달러, 유로화, 엔화와 함께 세계 4대 무역 결제 통화인 영국 파운드화가 추락했다. 영국 정부가 대규모 감세안을 발표하면서 투자자들이 영국 국채(길트:Gilt) 등을 무차별적으로 투매하면서다.

파운드화는 한때 1.03480달러까지 폭락하며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한때 가격 하락 폭이 4%를 넘기는 등 가격이 순식간에 폭락하는 '플래시 크래시'까지 나타나 투자자들도 촉각을 곤두세웠다.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가 새로 출범한 정부의 성장 촉진을 위해 감세 정책을 강화한 게 파운드화 약세에 직격탄이 된 것으로 풀이됐다.

영국 새 정부의 재무장관인 쿼지 콰텡은 지난주말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50년 만에 최대 규모의 감세안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소득세 기본세율을 인하하고, 주택을 살 때 내야 하는 인지세 인하 방안도 포함됐다. 기존 19%에서 25%로 인상하려던 법인세 인상 계획도 철회됐다. 영국 정부는 2027년까지 450억 파운드(약 70조 원)가량의 세금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BOE가 기준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하는 등 파운드 방어를 위해 긴급 투입됐지만 흐름을 바꾸지 못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은 금융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금리 인상에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앤드루 베일리 BOE 총재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금융자산의 상당한 가격 책정과 관련해 중앙은행은 금융시장의 변화를 매우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날 뉴욕환시에서 영국 파운드화는 1.58% 하락한 1.06950달러에 거래됐다.

유로화도 약세 흐름이 깊어졌다. 이미 달러화에 대해 1대1의 등가로 교환되는 패리티(parity) 환율이 깨지면서 고착화 단계로 이행하는 과정인 것으로 풀이됐다. 이탈리아 조기 총선에서 극우 세력이 주축인 우파 연합의 과반 승리가 사실상 확정됐다는 소식도 유로화 약세 요인으로 풀이됐다.

일본 엔화의 약세도 재개됐다. 일본은행(BOJ) 등 외환 당국의 강도 높은 시장개입 약발이 지난주에 이미 소멸했기 때문이다. BOJ는 지난주에 엔화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24년 만에 엔화 매수 개입에 나섰다. 달러-엔 환율은 한때 145엔을 위로 뚫은 뒤 개입 여파 등으로 가파르게 하락했다. 하지만 약발이 하루를 넘기지 못하면서 개입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는 되레 커졌다.

주요 통화의 약세로 달러 인덱스는 한때 114.786을 찍으며 20년 만에 최고치를 다시 갈아치우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미국의 중앙은행이면서 사실상 글로벌 중앙은행 노릇을 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독보적일 정도로 매파적인 통화정책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재확인되면서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검은 월요일'이라고 부를 정도로 충격을 받았지만, 연준은 아랑곳하지 않으리라고 전망됐다.

중국 역외 위안화도 약세 폭이 깊어졌다. 달러-위안 환율이 심리적 마지노선인 7위안을 위로 뚫으면서 중국외환 당국의 대응도 다급해졌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외환 선물환에 대해 외환위험준비금 비율을 이달 28일부터 0%에서 20%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지만, 파장이 제한됐다.

알리안츠의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마이크 리델은 "BOE는 매우 고약한 처지가 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BOE가 대응하지 않으면 파운드화가 추가 붕괴해 상황은 점점 엉망진창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만약 BOE가 대응한다면 선진국 시장이 통화를 방어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등 신흥 시장처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BOE는 대응을 해도 대응을 하지 않아도 욕을 먹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TD 증권의 외환 전략가인 마젠 이사는 (감세정책은) 영국 정부가 훨씬 더 완화된 재정적 추이를 가진다는 점에서 시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는 "당장은 가장 저항이 적은 경로(파운드화 시세)가 더 낮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파운드당 1.05달러 아래에서는 패리티 환율이 실제로 가시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유로화가 패리티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이미 지켜봤다"면서 "파운드화가 그러지 않을 이유를 찾지 못하겠다"고 강조했다.

밴티지 포인트 자산운용의 최고 투자 책임자(CIO)인 니콜라스 페레스는 정부가 경제를 부양하려고 애쓰지만 잉글랜드 은행(BOE)은 인플레이션과 싸우고 있다는 게 '엄청난 도전'이다"고 진단했다.

그는 "BOE가 이번 주에 정책 회의를 긴급하게 열고 금리를 인상할 수도 있다"며 "그런 일이 일어난다고 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이뱅크의 전략가인 사키타디 스파트는 "재정 준칙을 지키려는 영국 정부의 의지박약과 달러화의 초강세가 파운드화의 급격한 약세를 촉발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파운드화의 급락세는 일반적으로 위험한 자산을 꺼리는 일종의 위험회피 심리로 이어져 실제로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전 골드만삭스 자산운용 회장이자 전 영국 재무장관인 짐 오닐은 파운드화 약세를 달러 강세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국 파운드화 약세는) 여태까지 명백하게 나타난 전방위적 압력에도 마지못해 금리를 인상한 BOE의 미온적 조치보다는 극도로 위험한 예산안의 결과물이다"고 지적했다.

도이치방크의 전략가인 짐 리드는 "지난주는 최근 기억에서 가장 놀라운 거시 경제적 주간이었고 이후에도 모두가 뉴스의 쓰나미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이다"고 진단했다.

그는 "대부분 부정적인 정보의 물결이 월가를 몰아세우면서 이른바 공포지수인 VIX는 약 6%나 올라 2020년 10월 이후로 볼 수 없었던 수준에 바짝 다가섰다"고 지적했다.


86a8c24b1d344352f88786dd132bbc77_1664242669_909.png





오늘의 금값 동향 

금 가격이 2년 반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글로벌 달러화의 초강세와 채권 금리 상승이 금 가격을 끌어내렸다.

26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선물인 12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22.20달러(1.3%) 급락한 온스당 1,633.4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팩트셋에 따르면 이는 지난 2020년 4월 이후 약 2년 반 만에 최저 수준이다.

금 가격은 2거래일 연속 1% 이상 급락했다.

최근의 하단 지지선인 1,650달러 아래로도 내려선 모습이다.

달러화의 초강세와 채권 시장의 매도세에 따른 금리 상승이 금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날 달러화 지수는 114선으로 치솟았다.

영국 금융시장의 불안 속 달러화 가치는 고공행진했다.

달러화 강세는 통상 달러화로 거래되는 금 가격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미국 국채 금리도 급등하며 금 가격에 부담을 실었다.

미국 10년물 국채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20bp 이상 급등한 3.89%를 나타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중 3.9%도 상향 돌파했다.

채권 금리 상승은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금 가격의 상대적인 기회비용을 높이는 부정적인 요인이다.

귀금속 전문 매체 킷코닷컴의 짐 위코프 선임 분석가는 "국채 금리와 달러화의 강세가 귀금속 시장의 약세 심리를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루퍼트 롤링 키네시스 시장 분석가도 "지난주에 있었던 중앙은행들의 긴축 행렬이 금 가격에 강한 단기 하방 압력을 실었다"며 "중앙은행들이 향후 몇 개월 동안 긴축 경로를 바꾸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의 중기 전망도 악화했다"고 말했다.

86a8c24b1d344352f88786dd132bbc77_1664242710_4908.png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