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CK과 OMNI의 펀딩비 음수 유지…최대 연 22% 수익 전략 주목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FLOCK과 OMNI의 펀딩비 음수 유지…최대 연 22% 수익 전략 주목

코인개미 0 7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최근 무기한 선물 시장에서는 FLOCK과 OMNI의 펀딩비가 음수로 유지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무기한 선물에서는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 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투자 심리에 따라 조정된다. 펀딩비(Funding Rate)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가격 차이는 조정될 수 있으며,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하게 된다. 반대로 선물 가격이 낮으면 숏 포지션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하게 된다.

현재 데이터맥시플러스의 8월 22일 12시 29분 기준에 따르면, FLOCK이 가장 높은 펀딩비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게이트아이오에서 현물을 매도하고 해당 거래소의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잡으면, -0.2555%의 펀딩비가 적용된다. 이를 연환산하면 약 22.38%의 수익률에 해당하며, 연간 펀딩 수익은 약 111,777달러에 달한다.

또한, FLOCK을 활용한 다른 전략으로는 게이트아이오에서의 현물 매도와 바이비트 선물 시장에서의 롱 포지션 조합이 있다. 이 경우 적용되는 펀딩비는 -0.18686%로, 예상 연간 수익은 약 81,741달러, 연 수익률은 16.37%로 추정된다. 세 번째 유효 전략으로는 MEXC 선물과 게이트아이오 현물을 활용해 FLOCK 거래를 하는 것인데, 펀딩비 -0.1814%를 기준으로 연 환산 수익은 약 79,353달러로 나타났다.

4위부터 10위까지는 OMNI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OMNI는 바이비트 또는 게이트아이오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취하고, 바이낸스, 게이트아이오, 후오비, 바이비트에서 현물 숏 포지션을 세팅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의 펀딩비는 -0.1236%에서 -0.0973% 사이로, 예상 연 수익은 42,000~54,000달러 수준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음수 펀딩비의 조합을 활용한 전략은 롱 포지션 투자자에게 안정적인 펀딩 수익을 제공해, 시장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마진 거래 시 발생하는 이자 및 수수료는 총 수익에서 차감되기 때문에, 실제 투자 시엔 이를 고려한 수익률 분석이 필요하다. 최근처럼 펀딩비가 짧은 기간 동안 음수로 깊게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보유 기간 동안 수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 진입 장벽이 낮아지는 유리한 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가장 높은 펀딩비를 기록 중인 종목은 게이트아이오의 NERO로 연 6.66%에 해당하며, 그 뒤를 이어 HTX의 Monero(XMR)가 4.24%, 비트겟의 KOMA가 2.02%로 이어진다. 반대로 최저 펀딩비는 게이트아이오의 NERO가 저점 -0.005264, HTX의 Monero(XMR)가 -0.009275로 기록되고 있다.

이러한 펀딩비 차익 거래 전략은 시장 변동성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들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이기 때문에, 거래소 간의 펀딩비 차이를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