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파생상품 펀딩비율, 2022년 저점으로 급락… 반등의 가능성은?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에서 펀딩비율이 지난 주말 급격히 하락하며 2022년 약세장 저점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상당수가 숏 포지션을 취한 결과로 분석되며,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는 이를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극단적인 레버리지 청산 중 하나”로 평가했다.
펀딩비율은 무기한 선물 계약에서 롱과 숏 포지션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설정된 주기적인 비용으로, 주로 시장참가자들의 심리를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이 비율이 낮거나 마이너스를 나타낼 경우, 이는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보다 훨씬 많음을 의미한다. 이런 상황은 투기적 매도 심리가 극도로 강해진 상태를 나타내며, 가격의 추가 하락을 예상한 투자자들이 숏 포지션을 취하며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상황을 반영한다.
더욱이 이러한 숏 포지션의 집중은 반대로 강력한 상승세를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펀딩비율이 지나치게 낮아진 시점에서 반등이 시작된다면 포지션 청산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쇼트 스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매수 압력이 시장 가격의 반등을 유도하고, 불과 몇 시간 동안에 시장 방향성이 급격하게 전환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다.
글래스노드는 “이번 펀딩비율의 급락은 지나치게 쌓인 투기적 포지션이 일꺼번에 청산된 결과”라며, “현재는 시장 정화 단계로 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단기적으로는 불안정하게 느낄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반등 신호로 해석할 가능성 또한 제기되고 있다.
한편, 시장의 펀딩비율이 이처럼 급락하던 시점에서 반등이 발생한다면 이는 차별화된 투자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과거의 데이터에서 볼 때, 펀딩비율 하락 이후의 반등은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며, 이는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부활을 예고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파생상품 시장의 변화 속에서 투자자들은 보다 신중하고 복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급락이 단순한 하락세가 아닌, 반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지 여부에 따라 향후 시장의 향방이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