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401(k) 퇴직연금 계좌로 가상화폐 투자가 가능해지며 안정성 논란 증가

미국 정부가 401(k)라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제도에 가상화폐에 대한 직접 투자를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퇴직연금 자산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경제 위기 시에는 심각한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퇴직연금이 국민의 노후 자산으로써 더욱 많은 논의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투자자들은 내년 하반기부터 401(k) 계좌를 통해 가상화폐에 직접 투자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는 가상화폐가 전통 금융 시스템에 본격적으로 통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로, 동시에 고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가상화폐가 퇴직 자산에 포함될 가능성을 갖고 있어 논쟁을 초래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가상화폐의 도입이 투자 다변화와 수익 증대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이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메리츠증권의 박수연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가상화폐가 물가 상승과 통화 가치 하락 상황에서 위험 회피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자산의 분산 투자라는 측면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가상화폐가 내재가치나 담보자산이 없이 가격이 수요와 공급, 시장 심리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며, 경제위기 상황에서는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장치가 부족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가상화폐의 변동성이 퇴직연금 자산의 안정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의미한다.
현재 글로벌 가상화폐 시장의 시가총액은 약 4조1,900억 달러로, 과거 닷컴 버블 붕괴 당시의 나스닥 시가총액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가상화폐는 전통적인 금융시장에 비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특성이 있으며, 단기간 내 시장이 급격히 청산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박 연구원은 이러한 리스크를 '테일 리스크'라고 정의하며, 상황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정명령은 퇴직연금 운영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신호탄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만, 내재된 위험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설계와 투자자 교육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향후 심각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제도권 금융과 가상자산 간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지는 추세로 나아갈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관련 규제 체계 역시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
결국 미국의 401(k)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가상화폐 투자가 가능해짐에 따라 기대감과 우려가 교차하는 상황에서,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는 퇴직 후의 안정적인 자산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