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AAVE) 토큰, 트럼프 가족 연계 디파이 루머로 8% 하락…WLFI는 사실무근 주장

아베(AAVE) 디파이 프로토콜의 토큰 가격이 주말 동안 8% 이상 급락했다. 이번 하락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가족이 후원하는 디파이 플랫폼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와 관련된 루머의 영향으로 보인다. 루머의 주요 내용은 아베가 WLFI의 전체 토큰 공급량 중 7%를 배정받는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WLFI 측은 해당 주장을 명확히 부인하며, 사실무근으로 전했다.
WLFI는 공식 발표를 통해 아베와의 협력이나 토큰 배정과 관련한 어떠한 사항도 확인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이로 인해 커뮤니티 내에서 논란이 가중되었고, 우콜린(Colin Wu)이라는 중국계 블록체인 저널리스트가 루머를 처음 보도하면서 관심이 쏠렸다. 그는 SNS를 통해 “아베는 WLFI 토큰의 7%를 받는다는 주장은 거짓이며, WLFI 팀은 이것이 명백한 가짜뉴스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루머의 출처는 지난 10월 WLFI 커뮤니티에서 제안된 거버넌스 안건으로 보인다. 이 거버넌스 제안에서는 아베 DAO가 WLFI 디플로이먼트에 따라 WLFI 유통량의 7%와 추가로 프로토콜 수익의 20%를 거버넌스 토큰으로 수령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제안으로 인해 아베 생태계 내에서도 WLFI와의 협업 가능성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현재 WLFI는 아베 v3에 구축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질적인 토큰 할당이나 수익 분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공식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 이번 사태는 정치적 배경이나 특정 인물이 연계된 프로젝트가 시장 가격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아베 토큰은 이번 루머로 인해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으며, 앞으로 WLFI와의 관계에 따라 가격 흐름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들은 WLFI 측의 공식 입장과 아베 DAO 커뮤니티의 후속 조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시장의 반응과 논의의 진행 상황은 향후 아베의 가격 및 투자 심리에 괄목할 만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