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판다, 런던 증시 상장 대신 뉴욕 및 프랑크푸르트로 방향 전환

비트판다(Bitpanda), 비엔나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가 런던 증시 상장을 연기하고 뉴욕과 프랑크푸르트 상장에 대한 검토에 나섰다. 비트판다의 공동 창립자인 에릭 데무트(Eric Demuth)는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런던증권거래소(LSE)의 유동성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상장 후보지에서 영국을 제외하기로 결정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향후 몇 년간 런던 증시는 다소 둔화될 것이라며, 이는 최근 핀테크 기업 와이즈(Wise) 등 여러 영국 기업이 글로벌 투자자 유치를 위해 본거지를 해외로 이전하는 추세와도 연결된다고 언급했다.
비트판다가 뉴욕과 프랑크푸르트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은 영국의 IPO 시장 부진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FT에 따르면 영국의 기업 공개(IPO)로 조달된 자금은 최근 30년 간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런던의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서의 입지에 대한 신뢰를 흔드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암호화폐와 같은 혁신 산업에서 기업들이 점점 더 해외 시장으로 시선을 돌리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영국의 암호화폐 정책 또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국제금융공공정책포럼(OMFIF)은 6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영국이 초기에는 분산원장금융(DLT) 분야에서 선두주자였으나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했다. 이러한 정책 부진은 암호화폐 기업들로 하여금 다른 국가로의 이동을 고려하게 만들고 있다.
실제, 코인베이스(Coinbase)는 지난해 영국의 경제 현실을 풍자하는 영상을 통해 빈곤, 인플레이션, 부채, 낙후된 기반시설 등의 문제를 부각시키며 영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비꼬았다. 이는 런던의 경쟁력이 점차 하락하고 있고, 느슨한 규제가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비트판다의 런던 탈출은 암호화폐 기업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글로벌 거래소 상장 동향에 관심을 두게 만드는 중요한 이유가 되고 있다. 시장 환경의 변화와 기업들의 전략적인 결정은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