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래터지, 비트코인 보유량 64만 개 돌파…평가차익 36조 원 가까이

미국 비트코인(BTC) 투자 최강자로 알려진 스트래터지(Strategy)가 또다시 대규모 비트코인 매입에 나섰다. 이번 매입으로 회사의 전체 보유량은 64만 250개에 이르며, 이는 현재 시가로 약 10조 1,270억 원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비트코인에 대한 강력한 신뢰를 보유한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가 설립한 스트래터지는 최근 13일에 비트코인 220개를 추가로 매입했다고 발표했다. 이 매입의 평균 단가는 개당 12만 3,561달러(약 1억 7,163만원)였으며, 총 매입 규모는 약 2,720만 달러(약 378억 원)로 집계된다. 세일러는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2025년 연초 대비 비트코인 수익률이 이미 25.9%에 도달했다"고 강조했다.
스트래터지의 비트코인 매입은 2020년 여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총 약 473억 8,000만 달러(약 65조 8,820억 원)를 투자하여 BTC를 장기 보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평균 단가는 약 7만 4,000달러(약 1억 288만원)로 추정된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의 평가 가치는 약 730억 달러(약 101조 2,700억 원)에 달하며, 장부상으로는 약 260억 달러(약 36조 1,400억 원)의 평가차익을 기록하고 있다.
일본의 메타플래닛(Metaplanet)도 이와 유사한 전략을 채택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이 기업은 일각에서 '아시아의 스트래터지'로 부르기도 한다. 최근 메타플래닛은 5,419개의 비트코인을 약 6억 3,000만 달러(약 8,757억 원)에 매입하였으며, 이를 포함해 총 보유량은 2만 5,555개로 증가했다. 이는 약 30억 달러(약 4조 1,700억 원)의 규모에 해당한다.
그러나 스트래터지의 공격적인 매입에도 불구하고 최근 자회사 마이크로스트래터지($MSTR)의 주가는 다소 주춤하고 있다. 지난 6일에는 360달러(약 50만 원)로 고점을 기록한 후 하락세로 전환되었고, 시장의 조정 여파로 한때 300달러(약 41만 7,000원)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다만 이번 주 초 프리마켓 거래에서 소폭 반등을 보이며 다시 300달러선을 회복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기관 수요에 기반하여 장기적인 우상향을 지속할 경우, 스트래터지와 같은 기업들의 수익성도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관 위주의 비트코인 축적 트렌드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도 높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