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8,400억 원 청산 사태…XRP 반등의 기회로 주목

암호화폐 시장이 최근 24시간 동안 대규모 청산이 발생하며 극심한 변동성에 시달리고 있다. 총 6억 700만 달러, 즉 약 8,448억 원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었고,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XRP 등 주요 암호화폐는 모두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그중 XRP는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인 반등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지지선을 지켰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특히 비트코인은 하루 만에 약 1억 4,948만 달러, 즉 약 2,078억 원의 포지션이 정리되었고, 이더리움은 1억 7,454만 달러로 더 큰 규모의 청산을 기록했다. 솔라나와 XRP는 각각 2,734만 달러, 1,567만 달러로 상대적으로 작은 금액이지만, 이러한 수치가 시장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과 기술적 위치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시장 참여자들이 상승장을 지나치게 기대한 결과, 전체 청산 포지션의 약 4억 2,076만 달러가 롱 포지션으로 나타났고, 이는 숏 포지션의 1억 8,687만 달러와 대비된다. 이런 불균형은 과도한 낙관이 쉽게 뒤집힐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현재 XRP는 2.80달러, 약 3,892원 이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기술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가 지목한 핵심 지지선인 2.73달러, 즉 약 3,794원에 근접하고 있다. 이 지지선이 유지된다면 XRP의 향후 반등 목표는 3.10달러로 설정될 수 있으며, 특히 숏 포지션 보유자들에게는 3.149달러가 최대 고통 구간으로, XRP의 소폭 반등이 대규모 숏 스퀴즈를 유발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편,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인 로버트 기요사키는 전통적인 자산 배분 전략인 60/40 규칙이 이미 실패했다고 지적하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포트폴리오의 중심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는 실질적으로 파산했으며,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은 위험 자산”이라는 비판을 이어가며 금, 은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진짜 자산'으로 언급했다.
기요사키는 전통 금융 시스템이 붕괴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금태환의 중단을 중요한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그는 금 기반에서 벗어난 모든 화폐를 '가짜 돈'으로 간주하며, 현재의 시장 구조가 투기적 버블 속에서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같은 경고가 나오는 가운데, 시바이누(SHIB) 토큰의 유동성이 급격히 줄어드는 상황이 발생했다. 1,420억 개 이상의 SHIB 토큰이 거래소에서 빠져나왔으며, 이 유출 규모는 수천만 달러에 이른다. 일부 투자자들은 이를 강세 신호로 해석하며, 대규모 유출이 매도 압력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HIB의 가격은 0.0000119달러, 약 0.017원 수준에서 계속 하락 중이며 투자자 심리는 여전히 불안한 상태이다. 현재까지 기관 투자자의 유입 신호는 명확하지 않아 유동성이 감소하면서 시장이 더 취약하게 될 위험도 존재한다.
이번 청산 사태, 주요 인사의 발언, 코인 유동성의 흐름 등은 암호화폐 시장이 여전히 극단적인 투자 심리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술적 지표보다도 거시적인 리스크 요인과 투자자 신뢰의 회복 여부가 더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변화는 시장의 방향성을 크게 좌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