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무역 긴장 발표, 암호화폐 시장에서 60억 달러 이상 청산 발생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100% 추가 관세 부과 발표가 암호화폐 시장에 큰 충격을 미쳤다. 이 발표 직후 비트코인 가격은 급격히 하락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던 가격에서 12% 이상 떨어진 11만3000달러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급락은 투자자들 사이에 불안감을 조성하며 시장 전반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시장 데이터 제공업체인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사건 발생 24시간 동안 190억 달러(약 26조 원) 이상의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었다. 160만 명이 넘는 트레이더들이 피해를 입었으며, 그중 70억 달러 이상의 포지션이 단 1시간 만에 청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청산 사태로 평가된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가격 변동이 아닌, 시장 내 상대방 리스크를 상당히 드러내는 사건이었다. 멀티코인 캐피털의 수석 트레이더 브라이언 스트루갓츠는 “이러한 청산 규모가 30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분석하며 기관이 과도한 레버리지에 노출됐음을 지적했다. 실제로 이번 사건은 미·중 무역전쟁의 재점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암호화폐 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의 대중 강경 발언 이후 글로벌 시장이 전반적으로 급락세를 기록하며 자금이 미국 국채와 금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프라임 브로커리지 업체 팔콘X의 라비 도시 공동대표는 “무역전쟁이 다시 시작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급증하였고 옵션 시장에서도 하방 위험 회피 수요가 급증했다”고 언급했다.
알고리즘 기반의 트레이딩 플랫폼인 트레드파이의 CEO 데이비드 정은 “이번 사건은 전형적인 블랙스완 사건으로, 특히 높은 레버리지를 이용한 기관 트레이더들이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런 영구선물은 만기가 없는 계약 형태로, 암호화폐 트레이더들이 24시간 레버리지 거래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크로노스 리서치의 빈센트 리우 CIO는 “이번 폭락은 미·중 간의 관세 갈등이 도화선이 되었지만, 실제로는 기관의 과도한 레버리지가 불씨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암호화폐 시장과 거시경제 변수의 긴밀한 연결성이 드러난 이번 사태에서 청산이 마무리된 후의 반등 신호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가격 조정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글로벌 거시경제와 암호화폐 시장의 연결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건으로, 향후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서의 방어력을 발휘할지, 아니면 글로벌 리스크 자산으로서 변동성에 휩쓸릴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