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암호화폐 시장, 누비텍스 해킹과 미국의 제재로 11% 거래 감소

이란의 암호화폐 시장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글로벌 블록체인 분석 업체 TRM 랩스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들어 이란 내 암호화폐 거래량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이와 같은 감소의 주요 원인은 이스라엘과의 핵협상 결렬, 누비텍스 해킹,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제재 조치로 평가된다.
TRM 랩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7월까지 이란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거래 총액은 약 37억 달러(약 5조 1,43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 감소한 수치다. 특히 6월과 7월 사이의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는 당시 이스라엘과의 12일 간의 무력 충돌과 대규모 정전, 정부의 인터넷 통제가 맞물려 발생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란 내의 여러 불안 요소들이 겹치면서 시장이 위축된 것이다.
가장 결정적인 사건은 지난 6월 18일 누비텍스 거래소의 해킹이다. 누비텍스는 이란의 암호화폐 거래의 87%를 차지하는 최대 거래소로, 이 해킹 사건으로 인해 약 9,000만 달러(약 1,251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친이스라엘 해커 단체인 '프레데토리 스패로우(Predatory Sparrow)'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긴장이 최악으로 치달았던 시점에 일어났다.
누비텍스 해킹은 이란의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를 크게 훼손시켰다. TRM은 거래소의 유동성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거래 처리 속도 또한 느려졌다고 분석했다. 사용자가 다른 대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시장의 불안정성이 가중되고 있다.
이란 내 시민들은 고물가와 국제 제재 상황 속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주요 가치 저장 수단으로 활용해왔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기관들이 특정 스테이블코인을 이란과 관련된 지갑에서 차단한 사건은 이용자 접근성을 저하시키고 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을 더욱 확대시켰다. 이란의 경제 환경은 외교, 안보, 기술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TRM은 이런 지정학적 갈등과 규제 리스크가 이란의 암호화폐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란의 암호화폐 시장은 앞으로도 여러 외부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의 불안정성과 거래소의 인정성이 떨어진 상황에서 앞으로의 변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