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19만 트레이더 청산…레버리지 부담에 출렁이다

최근 전 세계의 암호화폐 시장이 역대급 폭락을 경험하며 레버리지 기반 상승세가 큰 위기에 직면했다. 단 하루 만에 19만 3,000명 이상의 트레이더들이 보유한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되고, 그로 인한 총 손실 규모는 약 8억 9,100만 달러, 한화로 약 1조 2,370억 원에 달했다. 주요 암호화폐의 가격이 급락하면서 투자자들의 심리도 크게 흔들리는 상황이다.
시장 분석 플랫폼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이번 청산 사태의 중심에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이 있다. 비트코인은 약 2억 7,500만 달러, 이더리움은 2억 9,000만 달러 규모의 청산 피해를 입으며 시장 전반의 하락세를 주도했다. 솔라나(SOL), 도지코인(DOGE), XRP 등 다른 주요 코인들도 큰 손실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연쇄적인 청산을 더욱 가속화 시켰다.
이번 폭락은 특히 ‘롱 포지션’에 집중된 피해가 두드러졌다. 하루 동안 청산된 롱 포지션의 규모는 7억 5,700만 달러에 이르며, 이는 숏 포지션의 손실인 1억 1,60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는 상승세에 대한 신뢰로 과도하게 베팅한 트레이더들이 예상치 못한 급락에 직면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추가적으로, 비트코인의 기술적 지표 역시 우려를 더하고 있다. 최근 두 차례 시도한 12만 2,000달러 저항선을 넘지 못하며 조정 국면에 진입한 비트코인은 현재 11만 달러 초반에서 10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만약 추가 하락이 발생해 10만 8,000달러에서 11만 달러 사이의 지지선이 무너진다면, 20일 및 50일 이동평균선도 동시에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재 RSI(상대강도지수) 지표는 과매도 구간에 근접하고 있어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러나 전체적인 흐름은 불안정하고, 투자 심리 회복에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태는 과도한 레버리지로 인한 변동성이 시장 전체에 지나친 리스크를 제공함을 강하게 경고하고 있다.
향후 시장의 방향성은 비트코인이 11만 달러대를 방어하고, 11만 5,000달러를 조속히 회복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반등에 실패하고 하방 압력이 커진다면, 암호화폐 시장은 또 한 번 깊은 조정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 결국, 리스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레버리지 투자가 이번 폭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현물 수요 회복 여부가 향후 상승장의 재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