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91 비트코인 보유한 메타플래닛, 주가 54% 급락… 유동성 위기 직면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비트코인(BTC) 투자 전문 기업 메타플래닛(Metaplanet)이 최근 심각한 주가 하락으로 유동성 위기를 맞고 있다. 이 회사는 비트코인 매입 전략을 바탕으로 한 독특한 자금 조달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전략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메타플래닛의 주가는 6월 중순 이후 약 54% 하락했으며, 이 시기 동안 비트코인 가격은 약 2% 상승한 것과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가 하락의 주된 원인은 메타플래닛이 운영하는 ‘플라이휠(flywheel)’ 구조의 자금 조달 전략이 손상을 입었기 때문이다. 이 구조는 주가 상승을 바탕으로 주식 매수 선택권(MS 워런트)을 발행하여 주요 투자자인 에보펀드(Evo Fund)로부터 자금을 유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주가가 하락함에 따라 해당 워런트의 행사 매력도가 떨어져, 메타플래닛의 현금 유동성이 악화되었다. 이는 필연적으로 추가 비트코인 매입에도 제동이 걸리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현재 메타플래닛은 골드만삭스 출신 트레이더 사이먼 제로비치(Simon Gerovich)가 이끌고 있으며, 현재 보유한 비트코인의 수량은 18,991 BTC에 달한다. 이는 상장된 기업들 중에서 일곱 번째로 많은 수치이며, 이 자산의 가치는 약 1,817억 원에 해당한다(1BTC=약 9,570만 원 기준). 회사는 2026년 말까지 10만 BTC, 2027년까지는 21만 BTC의 보유량을 늘리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워두고 있지만, 현재의 주가 하락이 지속될 경우 이러한 목표는 상당한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사태는 특정 정치적 발언이나 미국 정치 변수와는 무관하게, 기업이 비트코인을 재무 전략의 핵심 자산으로 채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장 리스크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비트코인이 기업 재무 전략의 중심에 놓이게 될 경우, 자산의 변동성과 기업의 주가 흐름 및 투자 심리가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통제 불가능한 외부 요인이 해당 전략 전체를 흔들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일깨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