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론(TRX), 하루 실현 이익 14억 달러 기록…장기 보유자들의 차익 실현 가속화

트론(TRX)의 투자자들이 최근 며칠간 대규모의 차익 실현을 통해 주목받고 있다. 특히 3년에서 5년 이상 장기 보유한 지갑 주소들이 이익 실현에 나서며, 트론의 하루 실현 이익이 약 14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현재 환율로 약 1조 9,460억 원에 해당한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회사인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이번 대규모 실현 이익은 올해 들어 트론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로, 주요 판매자는 지난 2020~2021년의 강세장 동안 매수한 장기 보유자들이다. 이들이 대량으로 매도하는 현상은 시장에 단기적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8월 5일 하루 동안의 실현 이익 14억 달러는 비트코인(BTC)의 실현 이익이 6억 6,510만 달러(약 9,248억 원)와 이더리움(ETH)의 3억 3,720만 달러(약 4,679억 원)를 각각 크게 초과하는 수치이다. 글래스노드는 이후에도 트론 네트워크에서 하루 평균 10억 달러 규모의 이익 실현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차익 실현은 수개월 만에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다.
트론의 투자 심리를 분석할 수 있는 지표도 이러한 현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현재 트론의 '순미실현손익(NUPL)' 지표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낙관과 불안의 경계에 있으며, '지출 산출 이익비율(SOPR)' 또한 1을 초과하여 강력한 차익 실현세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점에서의 트론 하루 실현 손실은 3만 1,600달러(약 4,392만 원)로 미미한 수준이다.
이번 차익 실현 움직임은 트론 생태계 전반에 걸친 활동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트론은 미국 달러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의 글로벌 거래량에서 이더리움을 5배 이상 초과하는 성과를 보이며 활발한 네트워크 사용을 입증하고 있다. 올해 들어 트론 내 USDT 공급은 200억 달러 이상 증가했으며, 현재 존재하는 USDT 총량은 810억 달러를 넘어섰다.
더욱이, 트론은 글로벌 USDT 이체의 약 60%를 처리하며 개발도상국과 제도권 기관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역동적인 활약 속에서 최근에는 장난감 기업인 SRM 엔터테인먼트가 TRX를 회사 자산으로 도입하고 사명을 'Tron Inc.'로 변경한 사례도 화제가 되었다.
장기 보유자들의 대규모 이익 실현 속에서도 트론 생태계의 실사용 확장과 네트워크 수요 증가는 TRX의 중장기적인 전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차익 실현에 따른 가격 조정 가능성을 투자자들이 유념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이러한 변동성 속에서도 트론은 여전히 성장과 기회를 품고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