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광고, 영국에서 검열 논란으로 번지다... CEO "전통 금융 시스템의 문제를 드러내는 사례"

영국 방송 규제 기관이 미국 기반의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의 광고 '모든 것이 괜찮아요(Everything Is Fine)'를 금지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코인베이스의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은 이 검열이 오히려 전통 금융 시스템의 심각한 문제를 드러낸다고 반박했다.
이번 논란의 중심이 된 광고는 지난 7월 31일 코인베이스의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에서 공개됐다. 광고의 전개는 밝고 경쾌한 음악과 함께 시작되며 "우린 아무 문제 없어요, 불평할 이유도 없죠"라는 가사가 등장하지만, 동시에 화면에는 영국 사회의 어두운 면모, 즉 노후된 주택, 쓰레기 더미, 심각한 빈곤이 노출된다. 이 영상은 유머와 풍자를 접목시켜 현재 영국이 겪고 있는 인플레이션과 생활비 위기의 현실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8월 4일, 암스트롱은 영국 방송사들이 해당 광고를 금지했다는 사실을 발표하며, 이는 광고가 전달한 메시지가 불편하지만 진실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말할 수 없다면, 그 안에 진실이 담겨 있다는 뜻"이라며 검열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일부에서는 이 광고가 특정 정당을 겨냥한 정치적 메시지라고 비난했지만, 암스트롱은 이를 부인하며 이 광고가 특정 정부나 국가가 아닌, 전 세계의 오래된 금융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콘텐츠가 홍보되었던 전례가 있다고 덧붙였다.
암스트롱은 여전히 일부 영국인들이 암호화폐를 도박 성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는 사실과 동떨어진 구식의 시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암호화폐가 전통 금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검열과 비판이 오히려 광고의 확산을 더 촉진한다고 평가했다.
이 광고가 주목받는 이유는 영국 사회의 경제적 불안정성을 겨냥했기 때문이다. 공정금융 관련 단체인 Fair4All Finance의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성인 44%, 즉 약 2,030만 명이 재정적 취약 상태에 처해 있으며, 이는 2022년 대비 16% 증가한 수치다. 불안정한 소득 구조, 낮은 저축률, 건강 문제와 실직 등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영국은 여전히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부족한 상황이다. 정책 싱크탱크 OMFIF는 지난 7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영국 정부가 규제 마련을 지속적으로 미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과 유럽연합(EU)보다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이로 인해 투자자 보호와 산업 성장 양측에서의 균형을 잃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광고 금지 문제를 넘어, 암호화폐가 지닌 진정한 가치와 가능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암스트롱은 "기득권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현실에서 우리는 새로운 대안을 이야기할 시간"이라며 암호화폐가 그러한 해답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