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의 디파이 프로토콜 주피터, 슈퍼앱으로 진화하며 시장 장악

솔라나(Solana) 기반의 분산금융(DeFi) 프로토콜인 주피터(Jupiter)가 메사리 리서치(Messari Research)의 분석에 따르면, 어그리게이터 시장에서 막강한 점유율을 기록하며 디파이 슈퍼앱으로의 진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2025년 2분기 기준으로 주피터는 솔라나 내 어그리게이터 거래량의 90% 이상, 전체 블록체인 환경에서도 50%에 달하는 점유율을 확보, 글로벌 데크스 어그리게이터의 1위를 차지하였다.
2021년 10월에 출시된 주피터는 다양한 자동화시장조성자(AMM)와 오더북의 유동성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거래 경로를 제공해 왔다. 먼저 탈중앙화 거래소 통합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후에는 실시간 슬리피지 추정, 동적 수수료, '울트라 모드(Ultra Mode)'와 같은 혁신적인 라우팅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플랫폼의 진화를 이뤄냈다. 이로 인해 2분기 동안 무려 14억 건의 스왑이 진행되었고, 총 약 800억 달러 규모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메사리 리서치는 현재 주피터가 단순한 거래 플랫폼을 넘어 디파이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슈퍼앱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주피터의 핵심은 커뮤니티 주도의 투명한 토크노믹스 구조에 있다. 거버넌스 토큰인 JUP는 2024년 초에 60만 개 이상의 지갑에 에어드랍 방식으로 배포되었으며, 벤처캐피탈(VC) 사전 할당이나 장외거래(OTC) 없이 투명히 출범하였다. 전체 공급량의 30%에 해당하는 30억 개의 토큰이 커뮤니티와 팀 할당분에서 균등하게 소각되었고, 수수료 수익의 절반은 공개 시장에서 JUP 토큰을 재구매하여 '리터박스(Litterbox)'라는 커뮤니티 전용 지갑에 축적하는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있다. 현재 온체인 보유자 수는 약 92만 명에 이르며, 메사리 리서치는 이러한 투명한 감사 공개와 바이백 정책이 커뮤니티의 신뢰를 증대시키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주피터는 제품군 역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무기한 데크스(perps DEX), 포트폴리오 트래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 전용 트레이딩 터미널, 런치패드인 주피터 스튜디오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에는 코스모스 기반의 어그리게이터 '코인홀(Coinhall)', NFT 플랫폼 'DRiP', 밈코인 전용 거래소 '문샷(Moonshot)' 등 여러 프로젝트를 인수하여 생태계 통합을 강화하고 있다. 2분기 기준 총 수익은 3,840만 달러에 달하며, 이 중 퍼페추얼 거래가 54.5%, 울트라 모드 수익이 30.8%를 차지하고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는 82만 건 이상이며, 월간 포트폴리오 사용자 수는 50만 명을 초과한 상황이다.
주피터는 향후 대출과 차용 기능을 지원하는 '주피터 렌드(Jupiter Lend)'를 2025년 8월 중순에 출시할 계획이다. 플루이드(Fluid)의 백엔드 유동성 기능이 통합된 이 새로운 머니마켓은 솔라나 디파이의 두 번째로 큰 총 가치 잠금(TVL) 부문인 대출 시장을 타겟으로 하며, 100만 달러 이상의 인센티브 예산이 배정될 예정이다. 메사리 리서치는 이러한 접근이 주피터의 수평적 확장에 이어 수직적 확장을 본격화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궁극적으로 주피터는 'Jup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