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투자자의 매수로 반등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프리미엄 지수 19개월 최고치 경신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이 지난 10월의 급격한 하락세를 딛고 반등에 성공했다. 두 암호화폐는 각각 3%, 9% 상승하면서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시 강화하였고, 이 과정은 주로 기관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암호화폐 분석기업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10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가 19개월 만에 최고치인 0.182로 급증했다. 이 지수는 미국의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에서 비트코인의 달러 거래 가격과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의 테더(USDT) 가격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면 이 지수는 하락하거나 마이너스 상태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번에는 오히려 상승했다. 이는 미국의 기관 투자자들이 가격 하락기에도 비트코인을 적극적으로 매수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매수세는 ‘디핑 매수(Buy the dip)’의 전형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즉, 가격 하락과 유동성 위기를 기회로 삼아 장기 보유 목적의 자산을 확보하는 전략인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가격이 약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에서 강력한 지지선을 형성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매수세가 지속된다면 향후 하락 압력이 완화되고 반등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크다.
이더리움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며 관심을 받고 있다. 같은 날 이더리움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는 연중 최고치인 6.0을 기록했으며, 이는 기관 매수세가 비트코인과 유사하게 강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크립토퀀트는 이를 바탕으로 "미국과 글로벌 투자자 간의 온도차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났다"며, 주요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저점에서 매수할 기회를 염두에 두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기관의 매수 벽은 중장기적인 가격 지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번 암호화폐 시장의 폭락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 발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불 시어리(Bull Theory)’에 따르면, 사건 발생 이틀 전 한 대규모 투자자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을 대규모로 구축한 후, 트럼프의 트루스소셜(Truth Social) 게시물 사후 급속히 포지션을 청산하며 약 2억 달러(약 2,780억 원)의 수익을 실현했다.
그는 11월 1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의 발표 30분 전에 공매도 포지션을 두 배로 확대했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금융시장이 급격히 반응했다. S&P 500 지수가 2% 이상 하락하고, 비트코인은 10만 2,000달러(약 1억 4,178만 원)까지 급락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일부 알트코인은 90% 이상의 폭락을 경험하며,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단 몇 시간 만에 1조 달러(약 1,390조 원)가 증발하고 200억 달러(약 27조 8,000억 원) 이상의 포지션이 청산되었다.
불 시어리는 이번 급락을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이나 2023년 미드사이클 조정과 유사한 ‘구조적 정화’로 평가하고 있다.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를 해소하는 이번 조정은 앞으로 다가올 상승장을 위한 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