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5년간 410조 개 토큰 소각하며 탈중앙화 생태계로 발전

시바이누(SHIB)가 시장에 등장한 지 5년이 지난 현재, 이 프로젝트는 눈에 띄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2020년 8월 1일, 개인의 3,000달러라는 소규모 유동성 자금으로 시작된 이 '밈코인'은 토큰 소각, 거래소 상장 및 탈중앙화 생태계 확장을 통해 괄목할 만한 진화를 이루었다.
특히, 시바이누의 토큰 소각 전략은 이 프로젝트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데이터 제공 사이트 시브번(Shibburn)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총 410조 7,520억 7,126만 7,334개의 SHIB가 영구적으로 소각되었으며, 이는 초기 발행량인 1경 개 중 약 41%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주목할 만한 사건은 2021년 5월, 이더리움(ETH)의 공동 창립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시바이누 팀이 보낸 토큰의 90%를 자진해 소각한 경우이다. 당시 그는 410조 SHIB를 소각하였고, 추가로 50조 SHIB를 인도의 코로나19 구호 기금으로 기부하여 총 약 67억 달러(약 9조 3,130억 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기부한 바 있다.
현재도 시바이누의 소각 전략은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 24시간 동안 110만 2,997 SHIB가 사라졌다. 지난 일주일간의 소각량은 6억 2,971만 8,781 SHIB로, 이는 전주 대비 무려 1,720% 증가한 수치로 나타났다. 이러한 급증은 프로젝트 팀이 디플레이션 기조를 더욱 강력히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동시에 시장의 인식도 크게 변화했다. 처음에는 '또 하나의 밈코인'이라는 부정적 시각이 있었으나, 2021년 10월에는 가격이 15만 배 상승하며 도지코인(DOGE)의 시가총액을 넘어서기도 했다. 이는 시바이누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주류 암호화폐 시장에서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매김했음을 의미한다.
시바이누의 프로젝트 개발은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같은 해 7월에 출시된 시바스왑(ShibaSwap)을 시작으로, 12월에는 토큰 LEASH와 BONE을 지원하며 DEX 생태계를 확장하였다. 2022년 4월에는 유명 리테일 거래소인 로빈후드(Robinhood)에 상장되었고, 같은 해 10월에는 카드게임 '시바 이터너티(Shiba Eternity)'가 글로벌 론칭되어 대중의 큰 관심을 끌었다. 2023년에는 레이어2 블록체인 '시바리움(Shibarium)'이 메인넷으로 정식 출시되어, 단순한 토큰 이상의 독립적인 인프라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하였다.
시바이누의 보유자들 역시 지속적인 소각 정책과 함께 게임, 디파이 및 확장성 있는 블록체인 구조를 갖추어 '자립형 밈코인'으로 자리잡아가기 때문에 여전히 높은 기대감을 갖고 있다. 비록 이 생태계의 미래는 불확실하지만, 지난 5년간 시바이누가 만들어낸 변화는 분명히 업계 전반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