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스데일 캐피탈, 비트마인 테크놀로지스 공매도…“프리미엄 정당성 부족”
뉴욕에 본사를 둔 투자사 커리스데일 캐피탈(Kerrisdale Capital)이 이더리움(ETH) 보유 기업 비트마인 테크놀로지스(BitMine Technologies, BMNR)에 대해 공매도에 나섰다. 이더리움의 강세론자로 알려진 톰 리(Tom Lee)가 이끄는 BMNR을 대상으로 한 이번 공매도는 해당 기업 모델에 대한 본질적인 의구심에서 시작되었다.
커리스데일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BMNR의 사업 모델이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의 전략과 유사하다고 지적하며, 사실상 기존 모델의 반복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보고서에서는 “BMNR의 전략은 이미 포화된 시장에서 대체 가능한 모델일 뿐이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프리미엄을 지불할 이유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커리스데일의 공매도 결정은 이더리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아니라, BMNR의 주식이 가격을 정당화할 만한 매력을 잃었다는 판단에 기초하고 있다. 실제로 비트마인의 주가는 사상 최고가 대비 약 63% 하락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커리스데일은 BMNR이 "단순 토큰 소유 이상의 가치를 제공한다고 주장하지만, 현재의 전략은 일반적이고 경쟁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공시 내용도 불투명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뿐만 아니라, 주당 보유 이더리움(ETH) 수치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프리미엄을 내세운 자금 조달 방식은 실제로는 자산 희석을 촉진함으로써 더 큰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리스크헤지(RiskHedge) 수석 트레이더 저스틴 스핏틀러와도 일치한다. 스핏틀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람들이 곧 비트마인의 성과에 지루함을 느낄 것”이라고 예측했다.
비트마인은 현재 약 128억 달러, 즉 한화로 약 17조 7,920억 원 규모의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어 업계에서 가장 큰 ETH 트레저리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피터 틸(Peter Thiel)이 9.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복잡한 평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틸은 최근 이더리움의 공동 창립자인 비탈릭 부테린으로부터 공개적인 비판을 받은 바 있으며, 그의 영향력이 BMNR의 운영 및 외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도 큰 변수가 된다.
이번 커리스데일의 공매도는 비트마인에 국한되지 않고 ETH 기반 기업 모델 전반에 대한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촉발할 가능성이 크다. 커리스데일의 이러한 베팅이 실제로 틀릴 수 있는지, 아니면 시장이 반등하여 이를 반박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앞으로 ETH 시장의 방향성과 밀접하게 연관될 것으로 보인다. 이 시점에서 커리스데일의 공매도와 BMNR의 주가는 투자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