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고래의 대규모 매도로 27조 원 자산 증발, 시장 혼란 가중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한번 큰 폭의 조정을 겪고 있다. 비트코인(BTC)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매도세가 작용하면서, 단 하루 만에 약 27조 원에 해당하는 자금이 증발했다. 이로 인해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은 약 5,340조 원 수준까지 급격히 후퇴하게 되었다.
이번 하락의 주된 원인은 비트코인 고래의 대량 매도였다. 아시아 시장이 개장한 직후, 한 투자자가 약 2만 4,000 BTC(한화 약 3조 7,530억 원)를 시장가에 방출함으로써, BTC 가격은 7주 만에 가장 낮은 10만 9,000달러(한화 약 1억 5,151만 원) 아래로 떨어졌다. 이로 인해 20만 5,000명 이상의 투자자들이 포지션을 강제 청산당했으며, 하루 청산 규모는 9억 3,000만 달러(한화 약 1조 2,927억 원)에 달했다.
온체인 애널리틱스 전문 업체인 글래스노드(Glassnode)에 따르면, 이번 매도로 인해 최근 1~3개월 동안 비트코인을 매수한 투자자들의 평균 매입가인 11만 800달러(한화 약 1억 5,012만 원)가 다시 무너졌다고 지적했다. 이 가격 수준은 역사적으로 강세장이 지속되는지를 판별하는 주요 지지선으로 작용해왔으며,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 수개월 이상 추가적인 하락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비트코인이 최고점 대비 12% 하락에 그친 상황에서도, 알트코인들은 훨씬 더 큰 타격을 입었다. 솔라나(SOL)는 11% 급락해 186달러(한화 약 25만 8,540원)로 떨어졌고, 도지코인(DOGE) 역시 10% 하락하여 0.21달러(한화 약 292원)를 기록했다. 에이다(ADA)와 체인링크(LINK)도 각각 9%, 11% 떨어졌다. 이더리움(ETH) 역시 하루 만에 7%가 빠졌고, 사흘 전의 고점과 비교하면 11% 이상 하락한 상태이다.
금번 급락은 특히 시장 전반에 걸쳐 레버리지 롱 포지션이 중심이 된 청산 물량의 급증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평가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주요 거래소들이 의도적으로 자산을 매도하며 롱 포지션을 강제 청산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였다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이미 지난 8월 14일의 고점을 기점으로 시장은 9% 이상의 조정을 겪었으며, 이번 하락은 그 연장선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시장 분위기가 극도로 위축된 가운데, 미국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Matt Hougan)은 "하락장 속에서 매수하는 것은 결코 '기분 좋은 일'이 아니다"라며, "시세가 빠져야 매수하겠다고 이야기하면서도 실제 조정이 오면, 더 큰 하락이 우려되어 주저하게 된다"라고 투자자 심리에 대해 조언했다.
이번 조정이 과거 강세장의 전환점과 유사한 흐름으로 이어질 경우, 비트코인 가격이 9월 중에 추가 하락하여 8만 7,000달러(한화 약 1억 2,093만 원)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 하락폭은 2017년과 2021년의 강세장 동안 각각 36%, 24%의 하락에 비하면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다.
비트코인과 주요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6주간의 박스권 내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지만, 이번 고래 매도 사태가 시장 심리에 미칠 영향은 장기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암호화폐 시장은 이러한 대량 매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