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억5,364만원·이더리움 616만원·리플 4,064원…하락세 지속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조정을 이어가고 있다. 8월 26일 오후 기준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1.71% 하락하여 현재 10만9,987.07달러(약 1억5,364만1,229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7일 동안 누적 하락률은 -4.33%, 한 달 기준으로는 -7.03%에 달해 중기적인 하락 압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그러나 60일 및 90일 기준으로는 각각 2.45%, 1.1% 상승세를 보이며, 일부 기술적 반등 요인을 가지고 있어 완만한 박스권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역시 57.84%로 과반 이상을 유지하며 시장의 중심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이더리움은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지난 24시간 기준으로 4.88% 하락하며 4,412.82달러(약 616만4,276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단기적인 조정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은 지난 30일 동안 16.98%, 60일 기준으로는 80.09% 상승한 기록을 보이면서 최근 상승 랠리의 주도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지난 7일간 변동률은 4.19% 상승세를 보이며, 대부분의 주요 암호화폐가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장 점유율은 14.06%로 비트코인에 이어 두 번째를 기록하고 있다.
리플은 비교적 제한적인 변동성을 보였다. 이날 리플은 1.62% 하락하여 2.91달러(약 4,064.62원)로 소폭 조정세를 나타냈다. 지난 7일 및 30일 기준으로는 각각 -3.66%, -9.11%의 약세 흐름을 타고 있지만, 60일 동안의 상승률은 38.78%, 90일 기준으로 27.12% 상승하여 장기적인 순 상승 흐름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플은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지지선을 기반으로 한 제한적인 조정을 이어가고 있다.
바이비트의 포지션 수익 분포에 따르면, 거래소 파생상품 시장에서 수익이 발생한 포지션은 34건에 불과한 반면 손실이 발생한 포지션은 477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에 변화가 없는 포지션은 11건으로 집계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손실 구간이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최근 암호화폐 가격의 조정 흐름이 단순한 기술적 조정이 아니라 매수 세력의 피로와 과열 청산을 반영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더리움은 단기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강한 상승세를 보였기에 관련된 파생상품 포지션에서 일부가 고점에서 청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비트코인은 완만한 흐름 속에서도 일정 이상의 가격 조정이 나타났기 때문에 고점에서 매수한 세력이 손실 구간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리플은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을 보였지만, 파생상품 시장에서의 레버리지 활용 범위가 좁은 탓에 손실 데이터에 직접적인 반영은 미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손실 구간 확대는 리플을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 전반의 시장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전의 기술적 반등보다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환경임을 시사하고 있다.
손실 구간의 우세한 구조는 파생상품 시장 전반에서 반전 가능성을 열어두며, 향후 핵심 수급 주체들의 포지션 재조정을 동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추가적인 수급 변화가 언제 발생할지 파악하는 것이 향후 시장 흐름의 변곡점을 읽는 열쇠가 될 수 있다.
전반적인 시장은 과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