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 K팝 저작권과 원화 스테이블코인 결합한 콘텐츠 금융 실험 시작

NH농협은행이 K팝 저작권을 포함한 콘텐츠 자산을 대상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과 토큰증권(Security Token Offering, STO)을 결합한 혁신적인 금융 실험에 착수했다. 이는 실물 자산 기반의 디지털 증권을 활용해 자산의 유동성을 높이고, 결제의 편리함을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전략은 국제적인 콘텐츠 금융 시장을 확장하려는 농협은행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농협은행은 핀테크 기업 아톤, 음악 저작권 거래 플랫폼 뮤직카우와의 협력을 통해 이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협약의 목적은 K콘텐츠, 특히 K팝과 같은 분야에서 발행된 토큰증권에 원화와 연동된 디지털 화폐인 스테이블코인을 통합하여 새로운 금융 모델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저작권, 공연권 같은 콘텐츠 기반 실물 자산을 STO 형태로 발행하여, 이를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쉽게 거래 및 결제할 수 있는 방식의 검증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해외 K팝 팬들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여 저작권 토큰을 구매하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고 있다. 이는 한국 원화의 디지털화와 동시에 K콘텐츠를 글로벌 금융 상품으로 변환하는 혁신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K콘텐츠 산업에 대한 해외 투자와 소비자 참여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콘텐츠 산업과 금융 산업의 융합을 통해 자산 유동성을 확대하는 이번 사업은 콘텐츠 자산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통해 유동화가 어려웠던 저작권 및 공연권 자산의 투자 접근성을 높이고, 정산 및 거래 시스템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혁신이 이루어짐으로써, 한국 콘텐츠 산업의 금융상품화가 가속화되고, 디지털 자산 시장 내에서의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농협은행의 강태영 은행장은 이 실험이 전통 금융과 새로운 디지털 금융 자산이 결합하는 전환점이라며, 향후 금융 생태계의 변화 속에서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기회로 삼겠다고 피력했다. 이는 국내 금융기관들이 디지털 자산 기반 사업에 점진적으로 진출하고 있다는 중요한 사례로, 향후 관련 제도의 정비 및 시장 진입자들의 확산 속도에 따라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정립이 기대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류 콘텐츠의 저작권 및 투자 기회를 새롭게 창출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디지털 금융 환경의 발전을 이끌어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