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 만에 도난 비트코인 8만 개가 갤럭시 디지털에 의해 재판매되며 의혹 증폭

최근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이 장외 거래를 통해 8만 개의 비트코인(BTC)을 매각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암호화폐 업계에 긴장감이 퍼지고 있다. 이 비트코인들은 2011년 해킹 피해를 입은 마이비트코인(MyBitcoin) 거래소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주기영 대표는 이 비트코인이 최소 14년 동안 비활성 상태였던 지갑에서 출처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갑들은 2011년 4월 이후 움직이지 않았고, 마이비트코인이 해킹으로 운영 중단에 와 닿기 직전 시점과 일치하는 점이 주목을 받고 있다.
당시 마이비트코인이 입은 피해액은 약 7만 2,000달러로 추정되지만, 현재 시세로 보면 8만 BTC는 약 1조 3,066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주 대표는 “이 비트코인들은 마이비트코인 지갑에서 비율이 높은 것으로, 해커나 운영자인 톰 윌리엄스(Tom Williams)에게 속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만약 갤럭시 디지털이 출처를 충분히 검증하지 않았다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자산을 확인 없이 시장에 유통한 경우가 된다.
갤럭시 디지털은 이번 매각을 ‘사토시 시절 투자자의 유산 정리’라고 설명했지만, 판매자의 신원이나 코인의 소유권에 대한 명확한 정보는 공유하지 않았다. 이러한 불투명성은 업계의 비판을 초래하며 거래 검증 절차의 필요성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예상외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대규모 매도에도 불구하고 약 11만 7,983달러(약 1억 6,438만 원)에 머물러 있어, 장외에서 이루어진 거래가 실시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사건이 주는 교훈은 도난 암호화폐가 시스템에 아무런 제재 없이 시장에 복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주 대표는 이번 사례를 통해 비트코인 시장의 구조적 변화도 포착하고 있다. 예전에는 고래(Whale)의 거래가 시장 예측의 주요 지표였으나, 이제는 오랜 기간 보유된 비트코인이 신뢰할 수 있는 장기 투자자로 이전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의 성숙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동시에 투명성과 신뢰 기반의 거래 검증 시스템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일깨운다.
마이비트코인 해킹 사건은 과거로 묻혔지만, 이번 갤럭시 디지털의 비트코인 매각 건은 암호화폐 세계에 아직 알아차리지 못한 숨겨진 이야기들이 많이 존재함을 강조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사건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업계의 주요 과제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