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개 코인 테마 중 13개 테마가 상승세…DID·광고 및 NFT/게임 부문 강세 지속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25개 코인 테마 중 13개 테마가 상승세…DID·광고 및 NFT/게임 부문 강세 지속

코인개미 0 14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알트코인 시장에서의 최근 흐름은 섹터별로 극명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전반적으로 25개 테마 중 13개가 상승세를 나타내며, 선별적 매수세가 조금씩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6월 5일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의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신원 인증(DID) 섹터가 +6.29%로 가장 두드러진 상승폭을 기록했다. 해당 섹터 내에서는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 +7.63%), 스페이스아이디(ID, +2.52%), 시빅(CVC, +0.14%)가 고르게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 다음으로는 광고 섹터가 +2.61%에 도달하며 주목받았다. 베이직어텐션토큰(BAT, +3.35%)과 밀크(MLK, +0.43%)의 강세가 이 섹터의 상승을 이끌었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섹터도 +1.89%의 상승률을 기록하였으며, 이곳에는 헤데라(HBAR, +1.89%), 스트라티스(STRAX, +1.53%), 폴리매쉬(POLYX, +0.62%)와 같은 종목들이 매수세에 힘입어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NFT/게임 섹터 또한 +1.06%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끌었다. 빔(BEAM, +7.69%)과 빅타임(BIGTIME, +5.12%), 애니메코인(ANIME, +3.23%) 등이 활발한 거래를 통해 이 섹터의 부흥을 주도했다.

반면 하락세를 보이는 섹터들도 존재했다. 상호운용성/브릿지 부문이 –1.32%로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으며, 월렛/메시징(–0.41%) 및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테이킹(–0.35%) 섹터도 악영향을 받았다. 특히 상호운용성/브릿지 섹터 내 엑셀라(AXL, –6.49%)와 옴니네트워크(OMNI, –1.99%)가 큰 하락폭을 보였고, 월렛/메시징 부문에서는 하이퍼레인(HYPER, –7.53%)과 월렛커넥트(WCT, –1.18%)가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테이킹 섹터 역시 커널다오(KERNEL, –7.46%), 해달프로토콜(HAEDAL, –5.01%) 등이 하락세를 이끌며 대다수 종목이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이외에도 스테이블 코인 관련 자산과 지급결제 인프라 섹터도 각각 –0.01%로 소폭 조정을 겪었다.

시장 전체적으로 보면, 상승 테마들은 1% 내외의 고른 반등을 이어간 반면, 하락 테마들은 비교적 제한된 낙폭인 –0.01%에서 –1.32% 범주 내에서 움직이며 약한 조정 흐름을 보였다. 특히 유틸리티 기반 테마의 조정 압력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한편, 인프라, 스마트 계약 플랫폼, 디파이 및 지급결제 인프라 등의 대형 섹터는 보합세 또는 혼조세를 보이며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했다. 이처럼 강세 섹터들이 하락 섹터들보다 두드러진 상승폭을 기록하며 시장의 분위기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