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무부, 98억 원 규모 암호화폐 사기 사건에 대한 몰수 절차 착수

미국 법무부가 암호화폐를 활용한 대규모 투자 사기 사건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했다. 워싱턴주 서부 연방검찰청은 7월 23일(현지시간) 석유 및 가스 저장시설에 대한 투자 사기에 연루된 암호화폐 자산 약 710만 달러(한화 약 98억 9,000만 원) 몰수를 위한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조치는 2022년부터 약 2년에 걸쳐 조작된 고수익 보장형 투자 상품을 미끼로 활용해 수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갈취한 사건과 관련이 있다.
이 조사는 국토안보수사국(HSI)이 주도했으며, 이중 사기 수법인 '에스크로 트릭'이 사용되었다. 사기 조직은 투자금이 실제로 석유 저장탱크 구매에 사용될 것이라며 피해자들에게 신뢰를 주었지만, 이후 투자금이 입금되자 연락을 끊고 잠적했다. 피해자들의 자금은 미국 외 여러 은행과 암호화폐 지갑을 통해 81개 이상의 계좌로 분산 이체되었으며, 상당수의 금액은 비트코인(BTC), 테더(USDT), USD코인(USDC), 이더리움(ETH) 등 다양한 암호화폐로 전환되어 바이낸스와 같은 주요 거래소 계좌로 송금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 금액은 총 9,700만 달러에 이르며, 이는 약 1,349억 3,000만 원에 해당한다. 이번에 몰수된 자산은 전체 피해액의 일부에 불과하다. 특히, 당국은 러시아와 나이지리아의 거래소를 통한 자금 세탁 정황도 확보했다. 이들 국가의 특정 시장은 테러조직이나 국제 제재 위반 조직의 돈세탁 허브로 지목되었으며, 일부 피해자 자금이 이러한 경로를 통해 해외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공모자 중 한 명인 제프리 K. 아우영은 지난해 8월 기소되었으며, 그는 운영하던 은행 계좌에서 230만 달러(약 31억 9,000만 원)가 압류된 상태다. 이와 더불어 이번에 몰수된 암호화폐는 정부가 피해자에게 부분적인 보상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연방검찰은 "피해 회복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빠른 추적 및 압류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법원의 승인을 통해 해당 자산이 피해자에게 반환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수십 건의 피해 사례가 접수되었으며, 피해 규모는 약 1,790만 달러에 달하고 앞으로도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를 통한 자금 유통이 어떻게 사기 수법의 은폐와 국제 자금세탁에 악용될 수 있는지를 다시 한번 각인시킨 사례로, 미국 당국의 글로벌 추적 역량과 수사 협조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