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와 BNB, 주간 블록체인 거래량 3억 4천만 건 기록하며 최고치 경신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 활력이 되돌아오고 있다. 공개 블록체인과 레이어2 네트워크에서 기록된 총 거래 건수가 3억 4000만 건을 초과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몇 달간 침체된 투자 심리에 전환점을 제공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번 기간 동안 기록적 거래량을 주도한 것은 솔라나(SOL)와 BNB체인이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듄(Dune)의 데이터에 따르면, 솔라나는 전체 거래량의 59.46%를 차지하여 1위를 기록했으며, BNB체인이 18.76%로 뒤를 이었다. 또한, 트론(TRX)은 4.68%의 점유율로 3위를 지켰다. 특히 솔라나의 밈코인 발행 플랫폼인 렛츠본크(LetsBonk)와 펌프펀(Pump.fun)은 이번 높은 거래량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펌프펀은 최근 약 6,950억 원 규모의 ICO를 단 12분 만에 마감하며 많은 주목을 받았다.
거래량 외에도 BNB체인은 디앱 생태계에서 가장 넓은 생태계를 가진 네트워크로 평가받고 있다. 비트겟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BNB체인은 개발자와 사용자 확보에서 여전히 강력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트론은 USDT 글로벌 결제 영역에서 이더리움(ETH)을 5배 초과하는 성과를 내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솔라나, BNB체인, 트론 세 프로젝트의 활동성 또한 두드러진다. 토큰터미널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들 블록체인은 일일 활성 사용자 수 기준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는 해당 블록체인들이 실제 사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거래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솔라나의 경우, 올해 7월 미국에서 최초의 솔라나 스테이킹 ETF가 출시되었고, 첫 주 거래량이 약 458억 원을 달성하는 등 파생 상품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솔라나의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을 열어두며, 7월 말까지 서류 제출을 요청한 바 있다. 이는 솔라나 ETF 상장에 대한 첫 단계로 해석된다.
한편, BNB 체인의 대표적인 토큰 BNB는 출시 8주년을 맞아 누적 수익률이 1만 배 이상 상승했다. 트론은 최근 미국 정책 입안자들과의 미팅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의 공공 영역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는 등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행보도 활발하다.
이번 거래량 급증과 네트워크의 활약은 블록체인 생태계의 경쟁 심화와 성숙도를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단순한 밈코인 열풍이나 일시적인 유행으로 평가하기에는 거래량과 활용도가 뒷받침되고 있으며, 실제 사용자 기반과 정책 연계 움직임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암호화폐 산업 전반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