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9월 하락세 지속…올해도 반복될까?

비트코인(BTC)의 가격 변동을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9월은 투자자들에게 어려운 달로 각인되어 있다. 10년 이상의 통계에 따르면 평균 수익률은 -5.58%, 중앙값은 -4.43%에 달하며, 이는 여러 다른 달과 비교했을 때 가장 저조한 성과를 나타낸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은 강세장, 약세장, 그리고 횡보장에 상관없이 매년 9월마다 하락세를 기록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인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의 데이터를 보면 2022년에 -3.1%, 2021년에 -7.3%, 2018년에 -5.7%, 그리고 2014년에는 무려 -19%의 하락률을 기록한 바 있다. 2016년과 2015년에는 각각 +5.9%와 +2.5%의 상승세를 경험했지만, 이는 오히려 예외적인 경우로 현재의 하락세 패턴을 더욱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2023년에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고 있다. 7월에는 비트코인 가격이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를 초과한 이후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8월에도 -3.9%의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과거의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9월은 또 다른 조정 시기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는 유동성 축소, 여름 랠리의 종료, 그리고 매크로 경제 변수들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매년 반복되는 경향을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은 다른 자산군 대비 계절적인 흐름에 더욱 민감하다는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시장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랭크(CryptoRank)의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이후 비트코인의 수익률은 빠르게 회복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9월은 여전히 '회피 권장 시기'로 여겨진다.
업계에서는 9월이 '리셋 버튼' 역할을 한다는 견해가 다수이다. 이 달은 투자 심리가 도식적으로 냉각되고 거래량이 감소하며 전반적인 시장 모멘텀이 저하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하락 추세는 다음 달인 10월에 반전될 수 있다. 실제로 10월은 평균적으로 +15.2%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9월의 부진한 흐름을 빠르게 만회하는 경향이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주의 깊은 분석과 정교한 투자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현재 9월에 비트코인을 신규 매수하는 것은 역사적 통계를 비추어볼 때 적절치 않은 전략일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9월에 방어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월말이나 10월 초를 기점으로 시장의 추세 반전을 노리는 것이 더 바람직한 접근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