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시장, 2028년까지 최대 3,900조 원 성장 전망…리플과 코인베이스의 긍정적 전망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은 규제 환경의 개선과 금융 인프라의 디지털 혁신에 힘입어 앞으로 수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리플(Ripple)의 중동·아프리카 지역 총괄인 리스 메릭(Reece Merrick)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향후 4년 내에 약 3,470조 원(2조 5,000억 달러)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메릭은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의 새로운 디지털 자산 규제법인 'GENIUS 법안' 등 각 국가의 법제화 노력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핀테크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통합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스테이블코인의 실사용성과 기관 투자자의 수요가 이 시장의 성장에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으로 진단했다.
현재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약 417조 원(3,000억 달러)을 기록하고 있으며, 보수적인 전망에서도 2028년까지 약 1,670조 원(1조 2,000억 달러)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더 나아가 일부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는 최대 3,900조 원(2조 8,000억 달러)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리플은 최근 일본 SBI VC 트레이드와 협력해 RLUSD 스테이블코인의 일본 유통을 시작하며 아시아 시장으로의 진출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7월에는 약 1,700억 원(1억 2,250만 달러) 어치의 RLUSD를 신규 발행하며 공격적인 공급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코인베이스(Coinbase) 또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향후 성장에 대해 유사한 기대감을 표명하고 있다. 이들은 효율적인 온·오프 램프 제공, 확장 가능한 유통 채널 구축, 규제 수용 강화를 통해 시장 확장 가능성을 높일 주요 요소로 꼽았다.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결제와 디지털 금융 서비스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특히 은행 서비스가 부족한 신흥시장에서는 미국 달러 기반의 가치를 디지털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앞으로 몇 년간 전통 금융 시스템과의 융합 과정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과거에는 암호자산의 가격 급등에 초점을 맞췄다면, 지금은 스테이블코인이 실제 경제와의 연결을 통해 '기초 금융 인프라 자산'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현재의 변화는 단순한 기술 트렌드를 넘어 글로벌 자금 순환 체계를 재편하기 위한 흐름으로 해석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