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인텔 주식 10% 확보…비트코인 기업 국유화 우려 확산

미국 정부가 반도체 제조업체 인텔의 지분 10%를 확보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암호화폐 업계에서도 유사한 정부 개입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알려진 바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총 90억 달러(약 12조 5,100억 원)를 투입해 인텔 주식을 매입하기로 했다. 이러한 정부의 전략적 지분 투자 방식이 비트코인(BTC) 산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분석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초기 비트코인 투자자인 튜어 드미스터는 "미국 정부가 인텔에 했던 방식처럼 비트코인 기업에도 손을 뻗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역사는 한때 극단으로 여겨졌던 조치들이 위기 상황에서는 빠르게 주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홈환경을 바탕으로 증명해왔다"고 주장하며 경각심을 높였다. 이러한 우려는 최근 발표된 애더먼트 리서치의 보고서에서도 지지를 받고 있다.
이 보고서는 "규제 환경이 완화되고 있지만, 수탁 중인 비트코인 자산에 대한 역사적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 내 높은 규제를 받는 온쇼어 기관에 예치된 대규모 비트코인 자산은 몰수나 재담보화(rehypothecation)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과거 금융기관들이 고객 자산을 반복적으로 담보로 활용했던 섀도 뱅킹 관행을 연상시킨다.
이번 인텔 지분 매입 사례와 같은 정부의 개입이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정당성을 갖춘다면, 업계 전반에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업체에 대한 국유화 또는 지분 인수가 증가할 경우, 비트코인의 핵심 원칙인 탈중앙화가 훼손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애더먼트 리서치는 "기존의 시장 점유율보다는 다국가에 걸쳐 분산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안전한 선택"이라며 투자자들에게 신중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에 대한 직접적인 자산 노출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이번 이슈가 단순한 우려로 그칠 것인지, 아니면 정부 규제가 실제 투자로 이어질 것인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때의 국가 주도 산업 육성 전략이 암호화폐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정부 개입이 현실화될 경우, 수탁 자산의 관리 방식과 기업 지배 구조에 큰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는 "신뢰와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의 개입 범위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안전과 신뢰를 유지하는 데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