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토스, 롯데와 협력해 RWA 확대… 130만 한국인 사용자 확보

블록체인 레이어1 프로젝트인 앱토스(Aptos)는 최근 전 세계에서 토큰화된 실물자산(RWA) 총액이 7억2천만 달러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앱토스의 최고사업책임자(CBO)인 솔로몬 테스파예는 오는 2025년 10월에 열리는 '코리아블록체인위크(KBW)'에서 진행된 인터뷰를 통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앱토스는 기존 5억 달러 수준에서 RWA가 최근 7억2천만 달러로 증가한 것을 강조하며, 증가 폭의 대다수가 프라이빗 크레딧과 머니마켓펀드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 테스파예 CBO는 “앞으로 공모주와 원자재 등의 자산을 온체인화함으로써 자산을 다각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에서 통과된 블록체인 규제 법안인 'Genius Act'의 영향으로, 앱토스는 이제 다양한 규제 기관과 전통 금융기관과의 협업 기회를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의 규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파일럿 단계에서 진행되었던 협업들이 이제는 대규모 도입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한국과 유럽 등 다른 국가들의 입법 프로세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한 테스파예 CBO는 롯데 계열사인 대홍기획과의 최근 협업 사례를 들며 지난 3개월 간 500만 개의 바우처가 130만 명에게 판매되었다고 전했다. 이처럼 선불 자산으로 분류된 바우처가 RWA로서의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은 리테일 참여 비율이 높은 독특한 시장이며, 향후 미디어와 IP 기반의 소비자형 프로젝트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앱토스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온체인 커머스(상거래) 생태계 조성'이라는 비전 아래, 빠르고 저렴하며 안정적인 블록체인 환경을 통해 다양한 거래를 지원하는 범용 인프라로 자리 잡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결제, 송금, 대체투자, 파생상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결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주요 지표로는 현재 RWA 규모가 7억2천만 달러를 초과하며, 스테이블코인의 월간 거래량은 약 700억 달러에 달하고, 총 예치금(TVL)은 약 1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한국 내 사용자 수는 롯데 바우처 기준으로 130만 명 이상이다.
테스파예 CBO는 향후 1년 간 앱토스의 성공 판단 기준이 단순한 예치된 자산(TVL)뿐만 아니라, 자산이 실제로 활용되고 순환되는 거래량이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앱토스는 자본이 정체되지 않고 다양한 금융상품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그동안 우리는 조용히 실행에 집중해왔으며, 앞으로는 한국 시장에서 더 자주, 더 크게 활동할 것”이라며 한국 시장이 앱토스에게 매우 중요한 만큼 현지 기업 및 기관과의 협업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