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원, 리브라(LIBRA) 자산 동결 해제…토큰 가격 하루 만에 393% 상승

미국의 법원이 밈코인 리브라(LIBRA)와 관련하여 동결했던 5,700만 달러(약 793억 원) 상당의 USD코인(USDC) 자산을 해제하면서 리브라의 가격이 하루 만에 약 393% 급등했다. 이 결정은 해당 자산의 소유자인 헤이든 데이비스와 벤 차우가 자금을 은닉하거나 이전할 의도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으로, 리브라를 둘러싼 법적 분쟁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투기 수요가 다시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뉴욕 남부지방법원의 제니퍼 L. 로션 판사는 동결 해제의 이유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로션 판사는 피고인들이 기존 재판부의 명령을 준수하였고, 자산을 이동하거나 숨기려는 조짐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번 소송은 리브라의 붕괴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약 1억 달러(약 1,390억 원)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며 지난 5월에 제기한 집단 소송의 일환이다.
동결되었던 자산은 헤이든 데이비스와 거래소 메테오라(Meteora)의 전 CEO 벤 차우가 관리하던 두 개의 지갑에 보관되어 있었다. 메테오라 내부에서도 데이비스와의 협업에 관한 갈등이 존재했으며, 그는 여전히 토큰의 주요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차우 쪽 변호인은 이번 소송을 "검증되지 않은 주장"이라며 향후 기각 신청을 통해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법원의 결정 직후, 리브라 토큰은 급격한 가격 반등을 겪었다. 24시간 안에 약 393% 상승했으며, 일주일로는 409%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현재 리브라는 약 0.043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거래량은 7만 달러(약 9,730만 원)에 불과하지만, 급격한 변동성과 함께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높아진 모습이다.
리브라는 출시 초기, 아르헨티나의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삭제된 SNS 메시지를 계기로 정부의 지원을 암시하며 잠시 사이즈가 커졌으나, 이후 가격은 97% 이상 급락하며 붕괴하였다. 이후 내부 사기와 관련된 정황들이 드러나면서 리브라의 신뢰도는 크게 하락했다.
이번 자산 해제의 소식은 투자자들 사이에 기대보다는 회의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법원이 동결 조치를 철회한 것은 자산의 소유 문제나 피고인의 범죄 여부와는 무관하며, 리브라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조사는 여전히 법정에서 계속될 예정이다. 따라서, 당분간 리브라는 단기 투자 기회를 노리는 투기적 관점에서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소송과 신뢰 회복이라는 많은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