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추진…미국의 제니어스법에 맞대응

중국 정부가 위안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공식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어, 이는 미국의 빠른 스테이블코인 규제 편입과 달러 패권 강화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 분석된다.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정책 변화는 위안화 사용을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중국은 이를 '글로벌 금융 무기'로 활용하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
중국의 새로운 로드맵은 스테이블코인의 실효성을 평가하며, 이를 이달 말 최종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책 초안에는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국제 유통을 위한 기술적 및 규제적 기초가 포함될 예정으로, 이는 중국의 금융 전략을 크게 변화시키는 이정표가 될 수 있다.
한편, 중국은 그동안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 대해 극도의 우려를 표명하며 엄격한 규제를 시행했다. 2013년부터 가상자산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이어온 데 이어, 2021년에는 비트코인 채굴을 전면 금지해 업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국은 전 세계 채굴 해시레이트의 21%를 점유하고 있어, 실질적인 통제는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CBDC) 프로젝트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으며, 홍콩은 올해 초 스테이블코인 발행 라이선스 제도를 도입하며 암호화폐 허용 가능성을 점진적으로 확장해왔다. 이에 따라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의 출현은 이러한 전략적 완화의 결정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미국 역시 스테이블코인 산업을 지원하는 법안인 '제니어스법(Genius Act)'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급속도로 다지고 있으며, 미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는 스테이블코인이 최대 2조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이를 통해 달러 패권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如今, 중국과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정책을 두고 상반된 접근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태도 변화는 글로벌 금융 질서의 '디지털 경쟁' 본격화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중장기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지각변동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