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급락, 스테이킹 –21%…이더리움과 오라클은 반등세를 보여

최근 7일간 암호화폐 시장에서 주요 섹터가 일제히 하락하며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20일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스테이킹 서비스 분야가 -21.1%라는 큰 낙폭을 기록하며 특히 주목받았다. 이는 전주에 +35.0%로 급등했던 것에서 불과 일주일 만에 급락으로 돌아선 경우이다.
NFT 애플리케이션이 -18.0%, 브리지 부문이 -17.9%, 데이터 가용성 부문이 -17.1%로 이어지는 등, 여타 분야 또한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RWA와 디파이 분야도 각각 -16.2%와 -16.0%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전주에 +20% 이상의 상승세를 보였던 것과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AI 분야가 -15.3%, 비트코인 생태계가 -15.0%, 퍼페추얼 DEX가 -15.0%, 게이밍이 -14.6%, 밈코인이 -14.5%, 그리고 이더리움이 -14.0%로 모두 두 자릿수의 하락폭을 보였다. 특히 이더리움의 경우, 지난주 +24.8%의 상승세로 주가가 급등한 이후 매수세가 대폭 꺾이면서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파일 저장 부문도 -14.0%, DePIN이 -13.8%, 데이터 서비스가 -13.3%, 유틸리티 및 서비스가 -13.1%, 가치 저장이 -12.3%,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이 -11.1% 떨어졌고, 이들은 모두 전주의 상승세가 무너진 결과를 보여준다.
추가로 소셜 부문이 -9.8%, 1세대 스마트컨트랙트가 -9.2%, 비트코인이 -8.4% 하락했으며, 오라클과 거래소 토큰도 각각 -2.6%와 -2.3%의 하락률을 보였다. 특히 오라클은 전주에 +38.9%로 시장을 주도했으나, 이번 주에는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하며 조정세로 전환했다.
그와는 반대로 프라이버시 코인이 유일하게 +1.2%의 상승세를 보였으며, 이는 전주 -7.5%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되며 방어적 특성이 부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변동성에 대해 전문가들은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스테이킹 서비스 분야의 급락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는 스테이킹을 통해 얻는 수익을 기대하며 투자했던 사용자들이 실망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해당 섹터는 향후 새로운 투자 전략과 리스크 관리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조정이 지속될지, 아니면 조기 회복세로 돌아설지는 추가적인 경제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