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발표로 인한 암호화폐 시장 급락…전문가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해”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한 것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평가되며, 장기적인 하락세나 펀더멘털 약화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투자 리서치 기관 코베이시 레터는 이번 급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와 리스크,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0% 관세 부과처럼 단기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31일(현지시간) 자신의 SNS 플랫폼을 통해 중국산 제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은 크게 요동쳤고 특히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 자산에는 매도 압력이 집중됐다. 이 발표 이후, 특정 암호화폐는 하루 만에 최대 95% 하락하는 엄청난 변동성이 발생했다.
코베이시 레터는 롱(매수) 포지션에 몰린 투자자들의 과도한 집중이 이번 급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약 167억 달러 규모의 롱 포지션이 청산된 반면, 쇼트 포지션은 25억 달러에 불과해 두 포지션 간 비율이 7:1에 달하는 상황이었다. 이런 불균형은 시장 하락 시 급격한 청산과 가격 왜곡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코베이시 레터는 이번 급락이 구조적인 문제보다는 일회성 사건에 더 가깝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시장의 리스크 자산을 조정시키는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나, 암호화폐 시장의 기초 체력은 여전히 튼튼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비트코인(BTC) 및 주요 알트코인들이 빠르게 반등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더욱 신뢰를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지나친 레버리지 활용의 위험성을 재차 인식해야 하며, 유사한 급락 사건이 발생하더라도 시장의 구조적 붕괴로 간주하지는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투자자들은 향후 더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가격 조정은 시장의 일부 정상적인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급락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시장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변동성에 휘둘리기보다 시장의 기본적인 흐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