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원, 로건 폴의 NFT 프로젝트 '크립토주' 집단소송 기각 권고

유튜버 로건 폴이 론칭한 NFT 프로젝트 '크립토주(CryptoZoo)'와 관련된 집단소송에 대해 미연방법원에서 기각 권고가 내려졌다. 이 프로젝트는 초기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과 혜택을 약속했으나, 약속된 수익은 실현되지 않으면서 사기성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이에 대한 판결은 향후 소송의 방향성을 크게 좌우할 수 있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텍사스 지역의 로널드 그리핀 미연방 치안판사는 최근 75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오스틴 연방법원에 제출하며, 원고 측이 로건 폴과 투자 손실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소송의 내역만으로는 피고가 이 프로젝트로 인해 구매자들이 손해를 보았다는 주장을 지원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번 기각 권고는 집단소송 단체가 소장을 수정하지 않는 한, 연방법원이 소송을 기각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 이 집단소송은 2023년 2월 처음 제기됐으며, 원고 측은 로건 폴과 그 관련 인물들이 크립토주 프로젝트와 결부되어 있으며, 투자자들을 속이고 자금을 빼돌린 '러그풀(rug pull)' 사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핀 판사는 원고가 제기한 27개 주장 중 단 하나를 제외한 대부분에 대한 수정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했지만, 상품펀드 사기(commodity pool fraud)라는 특정 혐의는 논리적 비약이 심해 영구 기각의 결정을 내렸다. 그는 이와 관련하여 "법원이 원고의 주장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비상식적인 해석이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원고 측은 크립토주 NFT가 '알(breeding egg)' 형태로 시작되어 이후 부화하고, 다른 동물과 교배해 종합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옵션 계약 성격을 띤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법원은 이를 상품 계약으로 인정하기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번 권고는 향후 트럼프 대통령과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직접 군중들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법적 책임이 어떻게 결정될지를 감안할 때 중요한 선례로 남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소장이 어떻게 수정될지에 따라 사건의 전개가 크게 달라질 것이며, NFT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관련된 규제 공백의 문제를 재조명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NFT 시장의 신뢰성에 큰 타격을 미칠 수 있으며, 투자자들에게는 기꺼이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투자할 때 더욱 신중해야 할 필요성을 일깨워 준다. 크립토주 사건의 향후 전개에 따라 글로벌 NFT 시장에 미칠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cryp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