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과 도지코인, 서로 대조적인 흐름... TWT와 WLD 롱 포지션 강세 속 비트코인 매수세 위축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이더리움과 도지코인, 서로 대조적인 흐름... TWT와 WLD 롱 포지션 강세 속 비트코인 매수세 위축

코인개미 0 9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현재 암호화폐 시장에서 주요 종목들의 선물 거래 패턴이 눈에 띄게 다르고 있다. 특히, 상위 트레이더들의 롱 포지션이 어느 종목에 집중되고 있는지를 통해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이들은 높은 거래 전문성과 민감한 시장 대응력을 기반으로 투자 심리를 반영하고 있다.

19일 오전 10시 25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의 달러 마진 비율은 66.51%로 전일 대비 0.61%p 감소했으며, 코인 마진 역시 64.91%로 0.31%p 줄어들어 매수세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더리움은 달러 마진이 79.10%로 가장 강한 매수세를 기록했으나, 코인 마진은 62.49%로 3.60%p 하락하여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XRP도 비슷한 양상이다. 달러 마진 비율은 64.85%로 1.53%p 감소했고, 코인 마진은 74.54%로 소폭 증가해 전반적인 매수 심리가 서로 대조적이다. 솔라나의 경우, 두 가지 마진 비율 모두 감소세를 보이며, 달러 마진이 71.48%, 코인 마진이 71.84%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균형 매수세가 다소 약화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도지코인은 달러 마진이 72.73%, 코인 마진이 62.80%로 각각 소폭 상승했다. 이는 제한적이나마 매수세 회복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위 트레이더 계좌 기준으로 살펴보면, 비트코인의 달러 마진 롱 포지션 비율은 59.43%로 전일 대비 0.87%p 상승했고, 코인 마진은 65.09%로 0.55%p 증가했다. 이더리움은 달러 마진이 66.08%로 4.11%p 확대되었으나, 코인 마진은 소폭 줄어들며 전반적으로 강세 흐름을 보였다.

XRP는 달러 마진 비율이 76.20%로 지속됐고, 코인 마진은 84.98%로 0.92%p 상승해 매수 우위가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솔라나는 달러 마진이 79.91%로 상승하고, 코인 마진도 86.14%로 증가하여 강한 롱 포지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도지코인은 달러 마진이 약간 하락했지만, 여전히 코인 마진 비율은 88.79%로 전체 종목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중이다.

특히, TWT, KNC, TUT 등의 종목들은 달러 마진 시장에서 87% 이상의 높은 롱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코인 마진 시장에서도 AAVE와 CHZ가 상위권에 올라있다. NTRN, BAKE, TLM 등은 계좌 기준 강세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WLD, DOT, FIL 등은 90% 이상의 높은 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각 시장의 특성 덕분에, 달러 마진 시장은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기관 투자자들이 선호하며 단기 거래와 헤징에 적합하다. 반면, 코인 마진 시장은 암호화폐에 대한 낙관론이 강한 투자자들이 자산을 늘리기 위해 주로 활용된다. 강세장이 지속될 경우 C 시장의 미결제약정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시장의 낙관론을 강화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정보를 참고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되, 본 기사는 단순한 정보 제공에 그치며 그로 인한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에게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