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투자 심리, 1개월 간 탐욕에서 중립으로 이동…웨이브는 여전히 매우 탐욕적

최근 국내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투자 심리가 변화하고 있다. 1개월 전 '탐욕' 상태였던 투자 심리가 현재 '중립'으로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8월 19일 오전 10시 8분 기준으로 업비트 데이터 랩이 발표한 '공포·탐욕 지수'는 현재 '중립(54)'에 해당하며, 이는 전일과 동일한 수치이다. 그러나 1주일 전의 '중립(59)' 대비 5포인트, 1개월 전의 '탐욕(61)' 대비 7포인트 감소한 결과로,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가 점차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지수는 최근 가격 변화와 거래량을 바탕으로 투자자들의 감정을 5단계(매우 공포~매우 탐욕)로 나누어 분석한 지표로, 실시간 시장의 분위기를 반영한다. 이 지수에 따른 자산별 감정을 살펴보면, '공포' 구간에 해당하는 자산으로는 버추얼프로토콜(34), 봉크(36), 블러(37), 슬레이어(37), 카이토(39) 등이 있으며, 이들 자산은 매도 우위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봉크와 버추얼프로토콜은 각각 전일 대비 4포인트, 3포인트 상승하며 급격히 매도 우세가 강해졌다.
반면, '탐욕' 강도가 높은 자산은 웨이브(88), 체인링크(80), 스트라이크(78), 맨틀(77), 폴리곤에코시스템토큰(7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웨이브는 전일 대비 5포인트 상승하면서 최고 수준의 매수 심리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인 심리 점수가 높은 자산들 중 일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과열에 대한 우려도 상존한다.
또한 업비트 프리미엄 지수에서는 고체인(GO), 옵저버(OBSR), 랠리(RLY) 등의 자산에서 각각 100.00%의 높은 프리미엄이 발생해 거래에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해당 자산들의 글로벌 유통량이 낮거나 특정 수요가 집중되었던 경우로 분석된다. 반면 디지바이트(DGB)와 리저브라이트(RSR)는 각각 14.29%의 프리미엄을 나타내며 거래가 활발한 편이었다. 하지만 브렛(BRETT, -2.06%), 커넬다오(KERNEL, -1.78%), 엔진코인(ENJ, -1.69%) 등은 글로벌 평균가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어 매도 압력이 우세하게 작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디지털 자산 시장은 하단 지지력을 점검하는 상황으로,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지속하고 있다. 시장의 급격한 방향 전환은 제한적인 흐름이 예상되며, 앞으로의 투자 전략은 신중하게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