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미결제약정 6.3조원 돌파…전문가들 "매도세의 덫이 될 수 있다" 경고

리플(XRP)의 선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이 45억 6,000만 달러, 즉 약 6조 3,384억 원에 달하는 상황에서도 전문가들은 이를 긍정적으로 보지 않고 있다. 현재 전반적인 시장 침체 속에서 XRP 가격은 12% 이상 하락한 상태이며, 미결제약정이 오히려 ‘심각한 매도세의 함정’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코인글래스(CoinGlass)의 자료에 따르면, XRP의 최신 가격은 2.83달러에서 2.45달러로 떨어지며 13.02%의 낙폭을 기록했다. 동시에 선물과 옵션 같은 파생상품 시장에서 거래된 XRP 물량은 18억 2,000만 XRP에 이르며, 금액으로 환산했을 때 45억 6,000만 달러에 달한다. 외견상으로는 기관과 개인 투자자의 시장 참여가 활발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약 46%가 마이너스 수익 영역에 위치해 있어, 이들 투자자가 큰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전체 미결제약정 중에서 가장 많은 물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CME 플랫폼에서만 약 4억 5,390만 XRP, 금액으로는 약 11억 2,000만 달러가 거래되고 있다. 그 외에도 바이낸스, 비트겟(Bitget), 바이비트(Bybit), 게이트(Gate)와 같은 주요 거래소들은 각각 XRP 선물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7억 4,819만 달러, 6억 5,743만 달러, 6억 3,270만 달러, 5억 863만 달러 규모를 자랑한다.
하루 거래량은 특이한 증가세를 보이며, 전일 대비 355.35% 급증한 214억 9,0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전히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폭락 이후의 반등 가능성에 베팅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부 투자자들은 단기 급반등을 노리고 '하락 매수(buy the dip)’ 전략을 취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XRP는 아직 완전한 바닥 상황에 이르지 않았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XRP 생태계를 지탱하고 있는 세력들이 가격 하단에서 매수세로 전환한다면, 주요 저항선인 3달러를 회복할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점은 ‘고래’ 투자자들의 움직임이다. 최근 한 달간 XRP의 대형 보유자들은 하루 평균 약 5,000만 달러 규모의 자산을 시장에 던진 것으로 집계되고 있어, 이러한 대량 매도가 반등 흐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단기 시장 회복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보면, XRP의 미결제약정 규모는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수치로 인식될 수 있지만, 투자자들의 실제 수익 구조와 시장 심리를 반영했을 때 오히려 하락 신호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 특히 고래들의 매도세와 전반적인 시장의 매도 압력이 결합될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신중한 전략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