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브랜트, "비트코인 조정 후 50만 달러 도달 전망…2026년 조정, 2030년 대폭등 예측"

비트코인(BTC)이 최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다시금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 가운데 저명한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는 비트코인의 장기적 전망에 대해 신중하면서도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그는 현재 비트코인이 이미 정점을 찍었을 가능성이 30%에 이르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시 큰 상승장이 찾아올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브랜트는 온체인 분석가인 콜린 톡스크립토(Colin Talks Crypto)의 데이터를 인용해 “이번 사이클의 대세 상승장은 이미 끝났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2022년 11월 22일의 약세장 저점을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37개월 후에 새로운 고점이 형성된다는 역사적 패턴에 착안해 올해 12월이 정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러한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최대 20만 달러(약 2억 7,800만 원)까지 상승할 여지가 있지만, 브랜트는 이보다 조정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는 비트코인이 조정 장세에 진입할 경우, 2026년 11월쯤에는 6만~7만 달러(약 8,340만~9,730만 원)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나 이는 지난해의 약세장 저점보다 높은 수준이므로, 단기적인 하락에 대비할 필요는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성장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브랜트가 주목하는 진짜 '빅 무브'는 조정 이후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다음 강세장이 도래할 경우 비트코인 가격이 50만 달러(약 6억 9,500만 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현재 시가총액 기준으로 약 10조 달러(약 1경 3,900조 원)의 규모로, 이 경우 비트코인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자산으로 떠오르게 된다. 금의 시가총액이 약 22조 7,000억 달러(약 31경 5,300조 원)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비트코인이 금을 위협하는 거대 자산군으로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테크 대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비트코인의 이러한 전망은 매우 인상적이다. 예를 들어 엔비디아($NVDA)의 시가총액은 4조 4,000억 달러(약 6,100조 원),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3조 8,600억 달러(약 5,370조 원), 애플($AAPL)은 3조 4,000억 달러(약 4,730조 원) 수준이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이 이러한 수준의 시가총액에 도달한다면 크립토 자산의 위상은 상당히 높아질 것이다.
비트코인에 대한 이런 다소 낙관적이면서도 조심스러운 전망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는 가운데, 브랜트의 분석처럼 조정기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단기적인 공포에 휘둘리기보다는 중장기적인 흐름을 살펴 비트코인의 거대한 이동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