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코인(DOGE), 큐빅의 다음 51% 공격 잠재적 타깃으로 지목되며 업계 긴장 고조

최근 AI 중심 블록체인 프로젝트 큐빅(Qubic) 커뮤니티가 도지코인(DOGE)을 51% 공격의 다음 희생양으로 지목하면서 암호화폐 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큐빅은 올해 초 모네로(XMR)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으며, 이번에도 그 접목된 기술적 실험의 연장선으로 도지코인을 겨냥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큐빅의 창립자 세르게이 이반체글로(Sergey Ivancheglo)는 최근 커뮤니티 내에서 도지코인, 카스파(KAS), 지캐시(ZEC) 중 어떤 ASIC 기반 작업증명(PoW) 블록체인을 공격할지를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결과, 도지코인이 압도적으로 많은 300표 이상의 지지를 받으며 타깃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현재 도지코인이 시가총액 350억 달러(약 48조 6,500억 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만큼 외부 해시파워 공격에 취약하다는 점을 여실히 드러난다.
큐빅 커뮤니티는 “51% 공격이 기술 실험의 일환”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이를 신뢰 구조에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 ASIC 채굴이 허용된 PoW 기반 코인은 대규모 해시파워 가진 외부 주체들이 개입하기 쉬운 점에서 보안 취약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반체글로는 과거 아이오타(IOTA) 개발에 참여했으며, 이제 큐빅을 중심으로 탈중앙화 AI 및 컴퓨팅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시도가 블록체인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51% 공격이 성공할 경우 네트워크 전체의 신뢰성을 크게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지코인이 큐빅의 공격 예정 리스트에 오른 지금, 커뮤니티와 개발자들의 대응이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 PoW 기반 암호화폐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이며, 업계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요구되고 있다. 큐빅의 다음 행보는 블록체인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선택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