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국내 거래소, 2.1조 원 규모의 거래에도 불구하고 매수세 둔화…'스마트 컨트랙트' 강세 테마 부각

8월 17일 오후 6시 기준, 업비트의 전체 마켓에서 발생한 일일 거래대금은 1.04조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최근 24시간 누적 거래대금은 2.11조 원에 달했다. 이는 전일 대비 36.25% 감소한 수치로, 단기적으로 매수 심리가 약해진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테마에서 눈에 띄는 강세가 나타났다. 이더리움(ETH)은 2.23% 상승하며 중심을 잡았고, 기타 주요 종목으로는 ▲솔라나(SOL, +1.71%), ▲세이(SEI, +4.43%), ▲웨이브(WAVES, +4.05%), ▲에이다(ADA, +3.52%), ▲TAIKO(+3.22%) 등이 포함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비식별 종목 중 한 종목은 8.83% 급등세를 기록해 주목을 받았다.
인프라 테마에서는 ▲체인링크(LINK, +8.61%)가 가장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으며, ▲라이브피어(LPT, +3.44%)와 ▲ENS(+2.13%) 또한 강한 모멘텀을 자랑했다. 주요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TC, +0.55%)과 ▲리플(XRP, +0.70%) 역시 소폭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디파이 종목군에서는 대조적인 흐름이 느껴졌다. ▲스트라이크(STRIKE, –2.70%)와 ▲USDT(–0.36%)는 약세를 나타낸 반면, ▲RAY(+2.90%)와 불분명 종목(+3.15%)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양극화는 디파이 시장 내에서의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이외에도 밈 테마에서는 ▲도지코인(DOGE, +1.56%) 등 일부 종목이 소폭 상승을 이어갔고, 문화/엔터테인먼트 테마에서는 ▲CYBER가 7.88% 상승하며 강세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업비트에서는 전체 등락 종목 수가 하락 종목 수에 비해 소폭 더 많은 약세 흐름이 관찰되었다. 이는 여전히 하락세가 우세한 시장 상황을 반영하며, 등락 자산 수는 –5로 나타났다.
7일 이동평균값은 23.00을 기록하며 플러스 전환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전체 시장 상승으로 이어지기에는 여전히 모멘텀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은 전반적인 거래 규모의 축소와 함께 투자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심리를 보여주고 있다. 결국, 현재의 매수세 둔화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