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해커의 매도와 고래의 매수로 극단적 혼조세 나타나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이더리움($ETH), 해커의 매도와 고래의 매수로 극단적 혼조세 나타나

코인개미 0 5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최근 이더리움(ETH)이 급변하는 시장 상황 속에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지난 24시간 동안 이더리움의 가격은 3,500달러(약 4,865만 원)까지 하락한 후, 현재는 소폭 반등하여 3,850달러(약 5,357만 원)로 회복했다. 이번 가격 하락은 해커들의 매도와 대형 투자자들인 고래들의 매수가 맞물리면서 시장에 혼란을 초래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불법 자금을 축적한 해커 주소 두 곳이 총 2,000만 달러(약 278억 원) 상당의 이더리움을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약 370만 달러(약 51억 원)의 손실을 감수하며 이 거래를 실행했으며, 이는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부 고래 투자자들은 이번 하락장을 매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룩온체인의 데이터에 따르면, 비마인(Bitmine)과 관련된 투자 지갑이 주요 거래소인 팔콘X(FalconX)와 크라켄(Kraken)에서 총 3만 3,323ETH, 약 1억 2,640만 달러(약 1,758억 원)를 출금했다. 더욱이, 한 고래가 OTC 거래를 통해 1만 4,165ETH, 약 5,550만 달러(약 772억 원)를 매입한 사실도 확인됐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대형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에 대한 지속적인 신뢰를 갖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그러나 모든 투자 기관이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톰 리(Tom Lee)가 이끄는 비마인 이머전(Bitmine Immersion)은 이번 하락으로 약 20억 달러(약 2조 7,800억 원)에 달하는 평가 손실을 기록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대형 투자기관조차도 가격 급락에 따른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드러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 애널리스트는 흥미로운 온체인 동향을 포착했다. 그는 최근 48시간 동안 무려 23만 ETH, 현재 시세 기준 약 8억 8,550만 달러(약 1조 2,315억 원)가 중앙화 거래소에서 인출됐다고 분석하였다. 이는 투자자들이 ETH를 장기 보유하기 위해 콜드월렛으로 이동했다고 해석될 수 있으며, 단기 매도 압력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된다.

이번 사태는 2017년의 플래시 크래시나 팬데믹 당시보다도 더 복잡한 심리전과 구조적 변화를 암시하며, 시장의 심리적 불안감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준다. 트위터 인플루언서인 카레오(@CryptoKaleo)는 "시장 전체가 순식간에 무너지는 정도의 급락은 COVID-19 당시에도 보기 힘들었다"라며 이번 사태의 이례성을 강조했다.

이더리움의 향후 방향성은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일부 대형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와 장외 시장의 활발한 활동은 이 하락장이 단순한 공포 매도를 넘어서 더 깊은 의미를 가진 사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시장이 흔들릴 때, 노련한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유심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