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금융(DeFi), 신뢰의 재설계를 시도하다

금융 시스템의 근본적인 요소는 바로 '신뢰'다. 전통 금융은 이를 법률, 제도, 회계 및 감사 체계를 통해 유지해왔으나, 반복되는 금융 사고들은 이러한 신뢰 기반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를 노출시켰다. 이로 인해 탈중앙화금융(DeFi)와 블록체인 기반의 회계 시스템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블록체인과 스마트컨트랙트의 가능성이 재조명받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기술적 수단이 아닌 금융 구조를 실질적으로 재편할 수 있는 길로 인식되고 있다. 여러 번의 신뢰 실패—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의 와이어카드 회계 사기, 그리고 2022년 FTX 거래소 붕괴는 회계 조작과 정보 비대칭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드러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성공 사례는 기술 기반으로 신뢰를 형성하는 혁신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테더(USDT)와 서클(USDC)은 그 발행 및 소각 내역이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추적되며, 준비금 또한 공개된다. 이들은 2024년에는 시가총액이 2,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되며, DeFi와 글로벌 송금, 상거래 등에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전통 회계 시스템은 인간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했던 반면, 블록체인 기반 회계는 거래 내역이 변경 불가능한 장부에 실시간으로 기록되며, 조건을 충족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이중기장 방식에서 탈피해, 블록체인에서 제3의 공통 장부를 남기는 삼중기장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구조를 통해 거래가 기술적으로 검증가능해지며, 외부 감사 없이도 그 진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보 비대칭 문제 또한 DeFi에서 기술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는 특정 고객만이 정보를 알고 대규모 인출을 하게 된 상황을 보여준다. 그러나 DeFi는 자산 담보, 수익률, 상환 조건 등을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정보를 가질 수 있게 한다.
기존의 신뢰 시스템은 브랜드, 제도, 사람에 의해 유지되었으나, 반복적인 사고들은 이러한 신뢰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DeFi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코드로 자동화하여 신뢰를 형성한다. Aave는 담보 비율이 특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자동으로 청산되고, MakerDAO는 DAI 발행과 담보 관리를 자동화함으로써 금융 시스템을 운영한다.
현재 우리는 금융 신뢰 구조가 변화하는 역사적 전환점에 있다. 기존의 중앙 권위와 감독 기관 대신, DeFi는 수학과 코드로 신뢰 구조를 대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뢰가 사람이나 제도가 아닌 조건의 충족과 공개성에 기반하게 된다. 이 변화는 단순한 기술적 도전이 아니라 "사람을 믿을 것인가, 시스템을 믿을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다만 이러한 신뢰 구조가 현실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존재한다. 코드의 취약성, 해킹 위험, 예외 처리, 법적 정합성 등이 그것이다. 결국, 알고리즘이 윤리적 판단보다 우선할 수는 없으며, 사회적 신뢰 전반을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DeFi가 우리의 금융 관념에 던지는 신뢰의 설계 가능성은 이미 현실에서 작동하고 있다. 신뢰는 더 이상 전제가 아니며, 설계가 가능한 변수로 변모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