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기관의 강제 매수로 40만 달러 도달 가능성 제기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정체기에 접어든 가운데, 기관들의 비트코인(BTC) 매집이 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크립토 분석가 우디 베르트하이머는 지난 5년 동안 기관 투자자들이 조용히 비트코인을 확보해왔다고 지적하며, 이것이 “이전에 없던 강제 수요 구조”라는 분석을 내놨다. 기관들은 단순히 단기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과는 다르며, 사실상 비트코인을 보유하지 않을 수 없는 '강제 매수자'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베르트하이머는 오랜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들과 일정 비율로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던 개인 투자자들이 이더리움(ETH)이나 솔라나(SOL)와 같은 다른 자산으로 분산 투자하면서 비트코인을 판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물량은 기관들이 조용히 매입해오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시장의 구조를 재편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마이클 세일러가 이끄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사례를 들어, 세일러가 지속적으로 비트코인을 매수하면서 회사를 BTC 기반 기업으로 전환한 점을 강조했다. 이는 결국 비트코인을 더 이상 매수할 수 없는 구조로 이어질 수 있으며, 매수를 중단할 경우 회사 가치가 급락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베르트하이머는 과거에 비슷한 강제 매도 사례는 있었으나, 강제 매수자가 시장에 등장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시장은 개별 투자자들의 마지막 매도 구간에 접어들었다고 경고한 베르트하이머는, 이후 공급 부족이 심화되면 비트코인의 폭발적인 상승장이 시작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월가가 우리의 비트코인을 모두 사갔다고 하지만, 우리는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장에 숨겨진 잠재력을 강조했다.
베르트하이머는 이러한 시장 구조 하에 비트코인이 40만 달러(약 5억 5,600만 원)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보수적인 전망으로 평가했다. 이는 지금은 터무니없어 보일 수 있으나, 곧 현실적인 가격으로 여겨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더리움 기반 트레저리 기업의 출현과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 투자자들의 취약성 등 새로운 시장 변수가 있음을 지적하며 기존 암호화폐 투자 패러다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는 또한, 다가오는 비트코인 상승장에서 오히려 오랜 기간 이 시장에 있었던 투자자들이 기회를 놓칠 수 있음을 경고하며, 새로운 국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가상자산 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앞으로의 시장 전망이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