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부 제재에도 불구하고 가란텍스, 133조 원 규모의 불법 자금 처리 위해 비상 계획 가동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두 번째로 암호화폐 거래소 가란텍스(Garantex)를 제재한 가운데, 이 거래소가 이미 사전에 제재 회피를 위한 비상 계획을 수립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블록체인 정보 분석 전문업체 TRM 랩스(TRM Labs)는 가란텍스가 제재 이전부터 사용자, 플랫폼, 자금을 신속하게 이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안을 마련해 온 정황이 포착되었다고 밝혔다.
지난주 미국 재무부는 가란텍스와 그 후속 거래소인 그리넥스(Grinex)를 동시에 제재 목록에 올렸다. 그러나 TRM 랩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가란텍스와 같은 조직들은 규제 집행이 예상되기 전에 선제적으로 대응 전략을 세워, 제재의 효과를 무력화하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고객 이탈을 최소화하고 자산을 민첩하게 분산할 수 있는 준비가 이미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란텍스는 랜섬웨어 조직의 자금 세탁, 다크넷 거래, 불법 자본 이동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거래소로 알려져 있다. 미국 법무부에 따르면, 가란텍스는 2019년부터 2025년 3월까지 약 960억 달러, 즉 133조 4,400억 원에 이르는 규모의 암호화폐를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 내 불법 자금 흐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매우 중대한 거래량이다.
TRM 랩스는 또한 지난 3월 미국, 독일, 핀란드 정부가 가란텍스의 인프라를 해체한 사실을 언급하며, 후속 거래소 그리넥스가 이미 2024년 12월에 키르기스스탄 정부에 등기된 상태라고 강조했다. 이는 인프라 해체보다 수개월 앞서 후속 거래소가 준비되었다는 점에서, 가란텍스의 사전 준비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는 분석으로 연결된다.
특히, 가란텍스와 연관된 지갑 주소는 인프라 해체 직전인 2025년 1월부터 러시아 루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A7A5로 자금을 이동하기 시작했다. TRM 랩스는 이러한 움직임을 "규제 조치가 임박했음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재 회피 전용 자금 전송 경로를 구축하려는 시도"로 해석했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 산업에서 제재 회피 전략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다는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관련 전문가들은 국제 공조를 강화하며, 제재 대상의 사전 움직임을 추적하고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사이버 감시 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력히 피력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