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2조 6,000억 원 규모의 롱 포지션 강제 청산…과열된 파생시장서 '롱 스퀴즈' 현상 발생

비트코인(BTC) 가격이 급락하면서 파생상품 시장에서 대규모 롱 포지션 청산이 발생했다. 15일(현지시간) 바이낸스에서 BTC 가격이 12만 4,000달러에서 11만 8,000달러(약 1억 6,442만 원)로 빠르게 하락하면서 약 18억 9,000만 달러(약 2조 6,271억 원) 규모의 롱 포지션이 강제로 정리됐다. 이는 시장 참가자들이 단기간의 상승세에 베팅하며 지나치게 레버리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발생한 전형적인 '롱 스퀴즈' 현상으로 해석된다.
바이낸스에서의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단 몇 시간 만에 5% 감소하며, 투자자들의 포지션 청산 움직임을 드러냈다. 특히, 최근 고점에서 롱 포지션에 진입한 매수자들이 손실을 견디지 못하고 대규모 청산에 나서면서 순체결량(Net Taker Volume) 또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공격적인 매도세의 유입이나 뒤늦게 진입한 롱 포지션이 강제로 정리되는 전형적인 하락 패턴을 나타낸다.
크립토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이러한 매도 압력을 단기 반등 국면에서의 국지적 바닥 신호로 해석하면서도 현재 하락세는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상승에 베팅한 트레이더들의 '항복'에 가까운 경향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8시간 기준 청산 규모는 1억 3,000만 달러(약 1,807억 원)에 이르렀으며, 대부분이 지나치게 레버리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롱 포지션의 강제 청산 덕분에 발생했다.
바이낸스 파생상품 시장의 펀딩비는 0.006%까지 하락하며 롱 포지션에 대한 수요가 약화되고 있는 흐름을 보였다. 이는 시장의 낙관론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레버리지 비율을 줄여 리스크를 관리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지표들이 과열된 시장의 리셋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시장 구조적으로도 경고 신호가 포착되었다. 분석 플랫폼 스위스블록(Swissblock)은 BTC가 12만 4,500달러(약 1억 7,255만 원)의 사상 최고치를 일시적으로 돌파한 후 이를 유지하지 못하고 급락한 점에 주목했다. 기술적 지표상의 모멘텀은 여전히 양호하나 시장 구조는 상승장에서 하락장으로 전환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멘텀과 구조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추세 반등이 지속하기 어려우며 단기적인 반등 시도조차 쉽게 무너질 수 있다. 실제로 최근의 가격 급락 이후의 반등은 아직 뚜렷한 매수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하락 추세를 지지하는 선들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할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은 과도한 롱 포지션 청산과 함께 급락세 속에 단기 바닥 신호를 보이고 있지만, 전체 시장 구조는 약세로 기울어 있어 이전 고점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매수세 전환과 기술적 지지 회복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