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장 기업들, 이더리움 및 알트코인 활용한 재무 전략 확산

최근 미국 증시에 상장된 기업들이 이더리움을 비롯한 주요 알트코인을 기업의 재무 전략 자산으로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인 토큰포스트는 최근 발표한 리포트에서 이더리움 기반의 재무 전략을 중심으로 이러한 기업들의 디지털 자산 관리 동향을 심층 분석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보유량은 2025년 6월 이후 급격히 증가했으며, 현재 전체 공급량의 1%를 넘겼다고 추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파일럿 연구에서는 기업 보유량이 향후 10%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주목할 점은 이더리움의 지분증명(PoS) 기반 스테이킹 수익과 디파이(DeFi) 활용 가능성이 이러한 변화의 핵심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비트마인 이머젼(BMNR)의 사례가 눈길을 끈다. 이 회사는 지난 6월 말 ETH 기반 재무 전략을 발표한 뒤 단 35일 만에 83만 3천 ETH(약 29억 달러)를 매입했으며, 이 과정에서 주가는 800% 이상 상승하고 일일 거래량은 미국 증시 상위 50위권에 진입한 바 있다. 다른 기업들도 마찬가지로 이더리움 관련 전략을 통해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얻고 있다. 예를 들어, 샤프링크 게이밍(SBET)은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인 조셉 루빈이 회장으로 합류해 신뢰도를 높이며 연간 8~14%의 DeFi 수익률을 목표로 ETH를 적극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더리움 전략을 발표한 기업은 전략 발표 당일 평균 72.4%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그 이후 30일 간 평균 322.8%까지 상승했다. 기업들은 '무한 머니 글리치'라는 금융공학 구조를 활용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있으며, 주가 상승을 통해 얻은 자금을 다시 알트코인 매입에 투입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더리움 외에도 BNB(바이낸스코인), FET(페치), TRX(트론) 등 다양한 알트코인들도 미국 상장사의 전략 자산으로 포함되고 있는 모습이다. 예를 들어, HYLQ 스트래티지의 경우 하이퍼리퀴드(HYPE)를 보유하며 전략 발표 당일 주가가 741.8% 급등했으며, 디파이 디벨롭먼트(DFDV)는 발표 후 30일 동안 1,818.6% 상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주가 상승 흐름은 대체로 실질적인 매입이 아닌 보유 계획 발표에 따른 단기 기대감에 기초하고 있다. 실질 매입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알트코인의 시장 가격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비트코인 중심 재무 전략이 대형 기업들 사이에서는 이미 포화 상태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며, 알트코인은 후발 진입 기업들에게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 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부 재무 구조가 취약한 기업들은 본업과 무관하게 알트코인 보유 계획으로 주가를 부양하려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점이 지적되었다. 예를 들어, TRON Inc.는 현금 보유고가 90만 달러에 불과하며, 비보파워(VVPR)는 연 매출이 2만 달러 수준으로 사실상 영업을 중단한 상태다. 이러한 기업 구조가 지속 가능성이 낮고 시장 거품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은 기업들이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며, 미국 내 디지털 자산 접근법의 변화와 발전을 반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