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장관, 비트코인 추가 매입 가능성 언급…시장에 파장

미국 재무부가 비트코인(BTC)의 추가 매입 가능성을 시사하며 또 한 번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은 최근 SNS를 통해 비트코인 매입에 대한 입장을 변경했으며, 이는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베센트 장관은 이전에 정부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 외에 추가 매입 계획이 없다고 밝혔던 바 있으며, 이에 따라 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락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발언에서는 "예산 중립적인 방식으로 추가 코인 확보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언급하며, 정책 전환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는 그가 지난 3월에 한 발언과도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당시 그는 미국이 암호화폐 부문에서 글로벌 리더의 입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실제 블룸버그도 올해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매입할 확률을 30%로 전망한 바 있으며, 그 재원으로는 국제통화안정기금(ESF)이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시장에 대한 큰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고, 베센트 장관의 최근 발언이 다시금 비트코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의 발언 이후 비트코인은 24시간 최저치인 11만 7,201달러(약 1억 6,207만 원)까지 하락했다가, 현재 11만 8,156달러(약 1억 6,437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이틀 전의 사상 최고가인 12만 4,517달러(약 1억 7,314만 원)와 비교할 때 상당한 조정을 의미한다. 하지만 시장의 절반 이상은 비트코인의 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에 여전히 긍정적이다.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전략회사의 의장은 "변동성은 신념 있는 투자자들에게 주어진 선물"이라며 하락장을 별로 걱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발언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안정감을 주며,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를 이어가는 데 기여하고 있다.
미국 재무부의 발언으로 인해 시장은 다시 한 번 요동쳤고, 이는 미국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이 국제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잘 보여준다. 베센트 장관이 앞으로 어떤 추가 조치를 내놓을지는 비트코인의 가격 향방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미국 내 암호화폐 거버넌스의 방향성에도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