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변동성 감소… ETF와 기관 투자 수요가 새로운 상승장을 이끈다

현재 비트코인(BTC)은 극도의 낮은 변동성을 유지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Fidelity Digital Assets)의 리서치 부문 부사장인 크리스 쿠이퍼(Chris Kuiper)는 비트코인 시장이 마치 탄력을 잃은 스프링과 같다고 분석하며, 이는 향후 급격한 가격 변동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그는 이번 상승세가 단기적인 급등보다는 안정적인 상승세로의 전환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비트코인의 역사적 패턴과는 상반된 양상을 반영하고 있으며, 과거의 상승장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제 수치들도 이러한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쿠이퍼가 제공한 차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30일 변동성 지수는 3월 60% 이상에서 8월에는 약 20%로 급격히 하락하였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는 옵션 시장에서 역사적으로 낮은 내재변동성을 기록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는 대규모 가격 움직임의 전조로 해석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트코인의 조용한 상승세 속에서도 최근에는 갑작스러운 낙폭이 발생했다. 비트코인은 역사상 최고가인 12만 4,517달러를 기록한 직후 하루 만에 11만 8,000달러 아래로 떨어졌으며, 이는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가 정부의 비트코인 매입 계획이 없다고 발언한 후에 발생했다. 이러한 발표에 더해 미국의 도매 물가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강세를 보이며, 이러한 경제적 상황이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비트코인은 물론 나스닥, 기술주, 주요 암호화폐들도 약세를 보이며 금리 정책 불확실성이 시장 전반에 큰 압박을 가했다.
한편, 최근 제도권 금융의 비트코인 시장 참여가 증가하면서 시장의 거시적인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쓰리제이파트너스의 최고운영책임자 크리스토프 제퍼스(Kristoph Jeffers)는 ETF와 기관 투자 수요의 확대가 비트코인의 변동성을 명확히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같은 비트코인의 새로운 시장 환경과 예기치 못한 안정성은 향후 가격 움직임에 있어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몇 주 동안의 추세 전환 여부가 비트코인의 다음 상승장의 성격을 크게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비트코인 시장이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만큼, 투자자와 분석가들은 이러한 변화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